토지 이용과 메탄 배출 감시로 기후정책 고도화 추진
EU 탄소규제 대응 및 기후테크 산업 지원 기대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도는 '경기기후위성 1호기(GYEONGGISat-1)' 발사를 예정하고 기후정책의 고도화 등 네 가지 정책 효과를 달성하겠다고 8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위성은 오는 11월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우주군기지에서 발사될 예정이다. 구체적인 발사 일정은 조율 중에 있다.
광학위성인 1호기는 지구 저궤도에서 3년간 운영되며, 경기도 전역의 기후와 환경 데이터를 정밀하게 수집한다. 경기기후위성 추진은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지난해 8월 14일 기자간담회에서 중점과제로 발표하면서 시작됐다.
도는 같은 해 10월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올해 2~3월에는 위성 개발·운용 기관을 공모해 선정했다. 7월에 개발이 완료되었고, 9월에는 탑재체 항공시험을 완료했다.
경기도는 국내 최초로 기후 대응을 목표로 하는 위성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경기기후위성은 하나의 광학위성과 두 개의 온실가스 관측위성으로 구성되어, 발사 후에는 ▲토지 이용 현황 모니터링 ▲온실가스(메탄) 배출원 식별과 추정 ▲기후 재난 피해 상황 모니터링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될 예정이다.
이 위성의 정책 효과는 ▲기후정책의 고도화 ▲규제 대응 ▲산업 육성 ▲국제 협력 등으로 나뉜다. 먼저 위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도내 주요 온실가스 배출원을 감시하고, 경기도 및 시군의 과학적 기후정책을 수립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경기기후플랫폼과 연계해 '경기도 온실가스 관측 지도'를 제작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특정 지역의 메탄 누출과 발생량 모니터링이 가능해진다. 농업 및 축산업 분야의 기후변화 영향 관측과 재난 대응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글로벌 탄소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도내 중소기업의 탄소 배출량 측정 및 저감 방안 마련에도 기여할 수 있다. 기후 분야의 위성 데이터를 민간에 개방하여 도내 기후테크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산업 육성에 기여하는 방향도 기대된다.
또한, 기후위성을 보유함으로써 같은 기능을 가진 국내외 기관 간 협력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되어 국제적으로 기후정책 및 산업 교류를 증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 우주산업 정책과도 협업이 가능할 것이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