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료 또 오르나…지속가능항공류 사용 속도 내는 정부, 업계 긴장

2025-10-06

정부가 2027년부터 지속가능항공유(SAF) 사용을 항공사에 의무화하기로 하면서 항공업계가 긴장하는 모습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 항공사들은 이미 SAF를 적용한 실증 운항에 나섰지만, 저비용항공사(LCC)들은 아직 뚜렷한 도입 계획조차 세우지 못한 채 속앓이를 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9월, SAF 혼합의무제도 도입을 위한 민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제도 설계에 들어갔다. 정부는 2027년부터 국내 출발 국제선 항공편에 SAF를 최소 1% 이상 혼합해 사용하는 것을 의무화하고, 이를 2030년까지 3~5%, 2035년에는 최대 10% 수준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는 자율적 시범 운항 단계지만, 제도 시행 이후에는 해당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항공 운항 자체가 제한될 수 있다.

이 같은 정책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탄소감축 기준인 CORSIA(Carbon Offsetting and Reduction Scheme for International Aviation)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유럽연합(EU)과 주요 선진국들도 SAF 사용을 단계적으로 의무화하는 추세로, 항공업계 전반에 ‘탄소중립’ 전환이 본격화되고 있다.

시범 운항 들어간 대형항공사

국내에서도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이미 SAF 운항을 시작했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인천~로스앤젤레스 노선에 국산 SAF를 적용했으며, 아시아나는 2022년 파리 노선을 시작으로 올해 인천~하네다, 유럽 출발편 등으로 확대했다. 다만 두 항공사 모두 공급 물량 부족과 높은 가격 부담 탓에 전 노선 확장에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SAF는 현재 일반 항공유보다 2배 이상 비싸다. 대한항공이 SAF를 1% 혼합 기준으로 사용할 경우 연간 약 400억~450억 원가량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혼합 비율이 3~5%, 10% 수준으로 올라가면 연간 수천억 원 단위의 고정비 증가가 불가피하다.

"우린 준비도 안 됐다"

자금 사정이 넉넉지 못한 LCC는 SAF 도입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등 국내 주요 저비용항공사들은 아직 SAF 시범 운항은커녕 구체적인 도입 일정조차 마련하지 못했다. 일부 정유사와의 업무협약(MOU) 체결 등은 있었지만, 실질적인 계약이나 혼합 비율 설정은 미정이다. 한 LCC 관계자는 “정유사와 협의를 시작했지만, 현실적으로 지금 SAF를 구매하거나 적용할 여력이 없다”며 “정부가 세제 혜택이나 차액 보전 같은 직접적인 지원 없이 정책을 밀어붙인다면, 중소 항공사들에겐 도입이 ‘환경 정책’이 아니라 ‘경영 리스크’로 다가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항공권 가격 또 인상되나

SAF 도입으로 항공권 가격 상승에 대한 우려도 있다. 독일 루프트한자는 지난해부터 ‘그린 운임’을 신설해 SAF 사용 비용과 탄소상쇄 비용을 항공권에 포함시켜 판매 중이다. 유럽 내 일부 저비용항공사들도 SAF 비용을 ‘환경세’ 또는 별도 요금 구조로 승객에게 전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SAF 혼합비율이 의무화되면 항공권 가격 인상은 피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LCC는 평균 항공운임이 낮고 가격 경쟁이 치열해, 대형사보다 비용 전가가 어렵다. 항공업계 한 관계자는 “이미 고환율·고유가·고금리 3중고에 놓인 LCC 입장에선 SAF가 '탄소중립 투자'라기보다 '생존 압박'으로 다가올 수 있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