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전 공공기관 5년치 AI 정보화사업 파악…AI 안보정책 정비·강화

2025-03-31

국가정보원이 정부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최근 5년간의 인공지능(AI) 관련 정보화사업 실태 파악에 나섰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국정원은 중앙부처와 광역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그동안 마무리됐거나 향후 예정된 AI 관련 정보화사업 현황 자료를 제출받았다. 이번 조사는 각급 기관의 2023년 1월 1일부터 오는 2027년 12월 31일까지 총 5년간 AI 관련 정보화사업(나라장터 발주사업 제외)의 전반적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다.

나라장터에 공개되지 않는 AI 정보화사업은 지자체나 공공기관의 기획 단계 사업, AI 모델 등을 활용한 자체 서비스, 국책연구기관·대학과 협력하는 AI 연구개발(R&D) 사업 등이다. AI 발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기획 단계 사업부터 R&D 사업까지 AI 관련 사업은 가능한 모두 파악하겠다는 것이다. 나라장터 발주 사업은 국정원에서 일괄 조사할 방침이다.

가장 큰 광역지자체인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은 이러한 조사 방침에 따라 실국본부, 아리수본부, 서울교통공사와 서울물재생시설공단 등의 AI 정보화사업을 일괄 조사, 관련 보고서를 지난 28일 국정원에 제출했다.

국정원은 전자신문에 “AI 기술이 공공기관의 다양한 정보화사업에 활용됨에 따라 안전한 AI 운용을 지원하고, 해킹 등 보안 위협을 사전 차단하기 위해 이번 조사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어 “현황조사 결과 분석과 현장방문 등을 통해 정책 개선요인을 발굴해 (생성형 AI 활용 보안 가이드라인 등) AI 가이드라인을 보완하고 AI 안보정책 정비를 추진할 계획”이라며 “국내외 AI모델의 안전한 활용과 안보적 측면을 고려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국정원은 '딥시크(DeepSeek)' 등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해외 AI 모델 사용 문제와 연계해 국내외 AI 모델의 안전한 활용 방안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국정원은 지난 1월 공공기관에서 AI와 클라우드 등 첨단 정보기술을 원활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새로운 국가망 보안체계 가이드라인을 공개했다. 지난달에는 딥시크의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및 해외 저장', '민감질문 시 언어별 답변 상이' 문제를 지적하며 보안에 유의할 것을 당부했다.

이번 조사는 이 같은 움직임의 연장선에 있다. 공공기관의 급속한 AI 활용 확대에 따라 전반적인 보안 체계를 정비하고 넘어가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국정원이 보안 가이드라인을 전달한 적은 있어도 이번처럼 대규모 현황 조사에 나선 것은 처음”이라며 “AI 관련 업무 자동화나 디지털 행정까지 전반을 파악해 보안정책을 세밀화하려는 차원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 조재학 기자 2jh@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