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중 인공지능(AI)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중국이 기존 정책을 전환해 민간 기업 역할을 강화하고 개방 정책을 펴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31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중국 정부가 지난 15일 최종 승인한 공식 정부 운영 보고서인 '정부업무보고'를 분석해 이같이 설명했다.
NIA 연구진은 중국 정부업무보고 중 'AI·디지털 분야 추진 과제' 최근 5년치를 비교, 올해 새롭게 추진하는 과제를 분석했다.
비교 결과, 중국 정부는 기존 정책을 전환해 민간 역할 강화·해외 인재 유치 전략을 편다.
구체적으로 △기존 빅테크 기업에 대한 규제 정책을 전환한 '민간 역할 강화' △기존 규모 위주 성장이 아닌 빠른 성장 모델인 '유니콘·가젤 기업 발전 지원' △미국 트럼프 정부 정책에 다른 미국 내 인력 감축에 대응하기 위한 '해외 인재 유치' 등이다.
이 외에도 딥시크-R1과 같은 대규모 AI 모델을 의료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한다. 중국업무보고에 AI 모델 응용에 관한 계획이 제시된 것은 처음이다.
NIA 연구진은 미·중 기술 패권 경쟁 속 중국의 개방 전략의 성공 가능성에 주목했다.
이들은 “중국이 기술 자립을 강조하면서도 외국인 투자 유치를 확대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앤드류 응 스탠퍼드대 교수는 폐쇄형 정책을 펼치는 미국과 달리 중국 국가 차원의 오픈소스 개방을 장려하고 있어 글로벌 AI 공급망을 장악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이 격화하면 정책 불확실성 심화로 외국 기업들의 전략적 투자 의사결정이 위축돼 중국 개방 정책 실효성을 저해할 우려가 제기된다”고 부연했다.
달라진 중국 정부의 인재 유치 전략도 눈에 띈다.
칭화대를 비롯한 중국 대학들은 혁신형 첨단과학기술인재 배양이라는 국가 전략에 부응하기 위해 인문사회계 정원을 줄이고 공과대학·AI 전공 인원을 늘리고 있다.
동시에 해외 인재 영입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기초과학 연구비 삭감으로 인해 미국 내 인력 감축이 불가피한 상황을 겨냥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NIA 연구진은 “중국 정부가 국가 전략적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과학 인재 양성을 확대하는 동시에 해외 인재 영입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중국의 영향력을 높이는 데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대인 기자 modernm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