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력한 초동진화로 산불 확산 원천 차단한다

2025-10-22

산불발생시 헬기 등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조기진화와 함께 산불피해 최소화에 나선다.

산림청 등 관계부처는 20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산불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우선 산불대응 단계를 기존 4단계에서 3단계로 축소하고 재난성 산불 우려 시 산불 규모와 상관없이 산림청장이 신속 지휘하도록 했다. 봄철 산불조심기간에는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와 행안부 대책지원본부를 상시 운영하게 된다.

또한 산불조심기간 군 헬기를 즉각 활용해 즉응전력 41대 등 총 143대 편성하고 산림청 헬기를 올해 50대에서 2035년 70대로 확대할 계획이다. 출동시간을 50분에서 30분으로 단축하고 범정부 산불진화자원 운용협의회를 구성해 범정부 실시간 가용헬기 동원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아울러 공중·특수진화대 539명을 669명으로 확대하는 한편 방화선 조성 등에 영림단 등 민간 산림전문인력을 활용하고 소방에 초동대응 역할을 부여하는 등 규모와 역량을 강화한다.

다목적·고성능 진화차를 현재 33대에서 116대로 대폭 확충하고 물탱크를 장착한 고정익항공기 시범운영도 2027년 이후 추진한다.

산림청은 산림 인접지 관리 강화에도 박차를 가한다. 산불발생 위험지역 등은 산림과 건축물(민가, 국가유산, 주요시설 등) 사이에 이격거리를 확보하고 민가 주변의 수목 관리 기준을 개선한다. 농번기에 집중된 영농부산물 파쇄 지원을 가을철 수확기 이후로 확대해 실시한다.

산불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경각심 고취를 위해 매년 3월 첫째 주를 ‘산불조심 주간’으로 지정해 산불예방 캠페인, 안전산행 챌린지, 산림 인접지 인화물질 제거 등을 실시한다.

산불감시·전파체계도 개선한다. 자율방재단, 의용소방대, 이·통장단 등 주민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산불감시 체계를 구축하고 신고포상금을 최대 3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상향한다.

CCTV(AI 활용), 드론, 농림위성(2026년 발사 예정) 등을 활용해 지상·공중·우주에서 입체적(3중)으로 산불을 감시·분석하는 한편 산불 발생 시 전파 대상자를 실무 담당자에서 부단체장까지 확대하고 대상기관을 발전·송전 시설에서 원자력·정신·의료·복지·교육시설까지 추가한다.

산림청은 선제적·실효적 주민대피체계 구축에도 나선다. 최대 순간풍속을 고려한 주민 대피체계를 구축하고, 산불 위험지역에 주민대피계획 수립을 의무화한다. 통신망 장애 대비 다양한 수단(재난로밍, 민방위 경보 등)을 활용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재난에 강한 숲을 조성한다. 산불에 취약한 숲(과밀, 침엽수 단순림 등)은 솎아베기(적정밀도), 침엽수와 활엽수를 혼합 식재(혼합림)하고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등 불에 잘 견디는 수종으로 내화수림대를 조성한다.

산불재난위험이 큰 곳을 중심으로 산불진화임도를 확충해 진화자원을 신속히 투입하고 극한강우에 대비하여 사후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한편 정부는 22일 충남 공주에서 김민석 국무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산림청, 행정안전부, 국방부, 소방청, 경찰청, 기상청 및 충남도, 공주시 등 관계기관이 참여한 ‘2025년 산불진화 통합훈련’을 실시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