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만능주의는 옛말"...개인성장 목적 이직 직장인 늘었다

2025-08-14

직장인 1만618명 대상 조사

[서울=뉴스핌] 이석훈 기자 = 리멤버앤컴퍼니가 자사 '리멤버 리서치'를 통해 진행한 '경력 이직 인식 조사'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해당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43.8%가 이직할 회사를 선택할 때 '커리어 성장 가능성'이 가장 중요한 기준이라고 답했다. 이는 '연봉 인상률(20.7%)' 대비 두배 이상 많다.

특히 모든 직급에서 '커리어 성장 가능성'이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이라고 답했다. 사원·대리급 보다 고연차로 갈수록 해당 응답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리멤버 리서치는 길어진 평균 수명과 '지속 가능한 커리어' 구축을 고민하는 시니어 직장인들이 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최근 경기 침체와 인공지능(AI) 발 일자리 위협 등의 고용 불안도 한몫했다. '생존 이직'을 준비하는 트렌드가 뚜렷해지고 있는 데다, 일을 통한 성장과 만족을 추구하는 직장인들의 가치관이 확산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편 연봉과 복리후생 등 경제적 보상 역시 이직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연봉 인상률(20.7%)'의 뒤를 이어 '연봉 외 복리후생(20.5%)', '회사 재정 상태(14.7%)' 등이 위치했다.

특히 '이직을 결정할 때 연봉이 미치는 영향'을 묻는 질문에 약 80%에 달하는 응답자가 연봉이 이직 판단에 절반 이상의 영향을 준다고 답했다.

주대웅 리멤버 리서치사업실장은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직장인 개개인이 생존을 위한 성장을 추구하는 시대가 된 만큼 이제 구성원의 성장을 돕는 것이 기업의 가장 중요한 인재 유치 전략이 됐다"고 밝혔다.

stpoemseok@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