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민 디지털 직무 역량 키우는 지역 협력
고용 연계로 안착 지원…84.6% 활동 성과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SK하이닉스가 안성 외국인 이주민에게 인공지능(AI) 기반 일자리를 제공하는 양성 사업을 확대하는 성과를 공유했다. 이주민 자립 지원과 지역 인구 문제 대응을 목표로 디지털 직무 중심의 포용적 일자리 모델을 제시한 점이 핵심이다.
27일 SK하이닉스에 따르면 '2025 이주민 AI 어노테이터 미래 심포지엄'이 지난 25일 안성시 중앙도서관에서 열렸다. 정부와 지자체, 시민사회 관계자가 참석해 이주민 AI 어노테이터 양성 사업을 점검했다.

이 사업은 AI 학습 데이터에 라벨을 부여하는 어노테이션 직무 교육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AI 데이터 환경 구축에 필요한 기본 역량을 기르도록 구성했다. 한국어 교육을 병행해 안정적인 적응 기반도 마련했다. 교육 참여자는 실제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고용 연계 가능성도 높였다.
안성시는 이주민이 전체 인구의 10% 수준이다. 디지털 직무 중심 지원 수요가 커진 상황이다. SK하이닉스는 지역 특성을 고려해 다언어 능력을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일자리를 찾았다. 이주민이 데이터 가공 업무에 참여하며 소득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구조다. 올 한 해 수료자의 84.6%가 AI·디지털 분야에서 활동 중이라는 성과도 나왔다.
심포지엄에서는 협력 기관과 교육 참가자가 사업의 성과를 공유했다. 정상록 SK하이닉스 부사장은 "이주민이 디지털 직무 인재로 성장한 점이 의미 있다"고 밝혔다. 이어 "지역사회에 미치는 효과를 점검하며 확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보라 안성시장은 "이주민이 자신의 적성을 가진 주체로 설 수 있다"고 강조했다. "AI 분야 일자리에서 새로운 기회를 만들 수 있다"는 메시지도 전했다.
직접 프로젝트에 참여한 수료자는 "언어 장벽을 넘어 새로운 기술을 익혔다"고 말했다. 그는 "지역 안에서 역할을 찾는 시간이 됐다"고 강조했다. "자립과 성장의 길을 열어준 경험"이라는 말도 남겼다.
SK하이닉스는 모집 설명회 등 연계 프로그램으로 참여 기반을 넓혀왔다. 단순 교육을 넘어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CSR 모델 구축에 방점을 뒀다. 앞으로 포용적 일자리 창출 논의가 더욱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syu@newspim.com



![[에듀플러스]이기정 한양대 총장, “'AI·국제화로 담대한 성장'…한양대 2년간 성과 공개”](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25/news-p.v1.20251125.4e321e0ea3f54bd49d7e0b106bc70be0_P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