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관절증·등통증, 2·3위 차지
고령층, 하루 평균 24만건 진료
10년간 전체 진료비 47조 달해
소병훈 의원 "적시 치료 중요"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최근 10년 간 65세 이상 고령층이 고혈압, 무릎관절증, 등 통증 순으로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층 만성 질환 관리에 대한 적시적 치료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5일 소병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 간 65세 이상 고령층이 가장 많이 진료받은 질환은 본태성(원발성) 고혈압으로 나타났다.
고혈압에 이어 고령층이 진료를 많이 받은 질환은 무릎관절증, 등 통증이다. 그 다음으로는 ▲2형 당뇨병 ▲치은염 및 치주질환 ▲기타 척추병증 ▲급성기관지염 ▲전립선증식증 ▲어깨병변이 포함됐다. 고령층 의료이용이 만성·퇴행성 질환 중심으로 굳어지고 있다는 해석이다.

전체 진료 규모도 적지 않다. 10년간 10대 질환 총진료건수는 8억7717만 건이다. 하루 평균으로 따지면 24만321건으로 집계됐다.
전체 진료 규모에 따른 총진료비는 47조3190억원이다. 이 가운데 건강보험공단 부담금이 36조3950억원(약 77%), 본인부담금이 10조9230억 원(약 23%)으로 재정 부담이 공공부문에 크게 집중돼 있다.
세부 지표에 따르면, 고혈압은 2015년 1940만건에서 지난해 2453만건으로 늘어 하루 평균 약 6만3000건이 진료됐다. 반면 비용 측면에서는 무릎관절증과 만성신장병의 비중이 높아 두 질환에 진료비가 절반 가까이 집중되는 구조가 확인됐다.
증가 속도는 치과·대사성 질환이 두드러졌다. 치은염 및 치주질환이 10년 새 138.9%로 가장 빠르게 늘었고 2형 당뇨병이 64.1%로 그다음을 이었다. 만성신장병 58.4%, 전립선증식증 40.5%, 급성기관지염 35.6% 순이다. 이는 고령층에서 구강·생활습관 관련 질환의 부담이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소 의원은 "고혈압과 당뇨병, 치주질환, 신장질환은 단순히 한 번의 치료로 끝나는 병이 아니라 꾸준하고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대표적인 만성질환"이라며 "어르신이 적시에 적정하게 치료를 받도록 요양병원과 지역사회 의료기관, 공공의료, 돌봄체계가 역할을 분담하고 긴밀히 연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소 의원은 "의료비 지출이 사망 직전이나 특정 시기에 집중되는 구조를 완화하고 질병이 악화되기 전에 1차 의료를 중심으로 조기에 관리·치료하는 체계를 서둘러 설계해야 한다"며 "는 국가 재정을 아끼자는 차원이 아니라 어르신들의 건강과 삶의 질을 지키는 동시에 의료체계를 지속 가능하게 만들기 위한 투자"라고 설명했다.
sdk199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