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89년 도난당했던 불화 ‘예천 보문사 신중도’가 미국에서 국내로 돌아왔다.
대한불교조계종은 23일 서울 종로구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보문사 신중도의 환수 고불식(告佛式)을 열었다.
보문사 신중도는 1767년 혜잠 스님이 그린 불화다. 신중도는 불교의 여러 신을 그린 불화를 뜻한다. 좌우에 제석천과 위태천을 크게 그려, 다른 신중도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구성을 높이 평가받았다. 신중도는 경북 예천군 보문사에 보관됐다가 1989년 6월5일 아미타불회도, 삼장보살도 등과 함께 도난당했다. 아미타불회도와 삼장보살도는 2014년 국내에 환수됐으나 신중도의 행방은 알려지지 않았다.
2023년 6월 국가유산청과 국외소재문화재단은 미국에 있는 한국문화유산 현황을 확인하던 중 시카고대 스마트미술관에서 신중도를 소장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후 조계종은 총무원장 명의로 2023년 8월과 12월 스마트미술관에 신중도 반환을 요청했고, 협의 끝에 지난해 11월 미술관으로부터 조건 없이 돌려받기로 했다. 고불식 이후 신중도는 36년 만에 보문사로 돌아갈 예정이다.
조계종은 “신중도가 국가지정유산 보물에 준하는 가치를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중도와 함께 도난됐던 아미타불회도는 국내 환수 후 보물로 지정됐다. 신중도와 아미타불회도는 모두 혜잠 스님이 그렸다.
조계종은 “반환을 결정한 시카고대와 스마트미술관에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며 “앞으로 제자리를 떠난 성보(불교 보물)가 돌아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