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국감] 유전 정보 유출 논란 노보진코리아…정은경 장관 "실태 점검"

2025-10-14

14일 국회 보건복지위 국정감사

임산부 데이터 유출한 BGI 기업

BGI 임원, 노보진코리아 설립해

건강관리협회 정보 접근 '의혹'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중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유전체 분석 기업인 노보진코리아의 유전 정보 유출 의혹이 제기되자 정부가 실태 점검에 나설 계획이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1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노보진코리아가 한국건강관리협회와 같은 건물에 임대한 것은 맞지만, 공동연구 이력은 없다"면서도 "다른 기관으로부터 유전자 정보 분석을 의뢰받고 외국에 보내는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과 이주영 개혁신당 의원은 노보진코리아의 유전 정보 유출을 우려했다. 노보진코리아는 중국 유전체 분석기업 BGI 출신 인사가 설립한 국내 회사다. BGI는 52개국에서 확보한 800만개의 임산부 데이터를 중국 인민해방군과 공유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 의원은 "노보진코리아가 한국건강관리협회 건물에 입주했다"며 "형태를 보니 임대 계약자와 공유 실험실 형태고 유전자 분석이나 장비나 인력도 없다"고 했다. 그는 "한국건강관리협회는 복지부에서 관리하고 국가건강검진 10%를 수행하고 있다"며 "한국건강관리협회 회장과 임대 계약을 맺은 투자 회사 대표가 인터뷰했는데 둘 다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며 우려를 표했다.

정 장관은 "임대차 관계고 공동연구 이력 없다는 확인 보고 받았다"며 "협회가 갖고 있는 빅데이터를 어떻게 공유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확인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 의원은 "건강관리협회의 해킹 시도를 봤는데 동일 IP에서 1만건 이상 되는 접속 시도가 반복됐다"며 "동일 IP가 한 기관에 대해 지속적으로 해킹을 시도하는 것은 이례적"이라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법이 없는 상태"라며 "생명윤리법이 처음 도입됐을 때는 법이 있었는데 2013년에 검사 목적이 아닌 이상 유전자 검사 기관 신고 대상이 아니라는 내용으로 바뀌었는데 과정이 어떻게 된 것이느냐"고 물었다.

정 장관은 "법은 확인하지 못해 확인이 필요하다"며 "노보진코리아가 다른 기관으로부터 유전자 정보 분석을 의뢰받고 외국에 보내서 검사해야 하는지도 확인하겠다"고 했다.

sdk1991@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