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대웅 등 제약업계도 中 생성형 AI '딥시크' 차단

2025-02-06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에 대한 정보 유출 우려가 커지며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잇따라 딥시크 접속 차단에 나섰다.

6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이날부터 임직원 업무 PC에서 딥시크 접속을 차단키로 했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챗GPT와 달리 정부 부처에서 딥시크를 잇따라 차단하고 있다”며 “정보 유출 등을 막기 위해 회사에서 접속하는 서버랑 모든 PC에서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고 설명했다.

한미약품도 이날 임직원 업무 PC에서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고 직원들에게 전달할 AI 이용 수칙 등 내부 공지를 준비하고 있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보안팀에서 정보 유출 우려를 이유로 딥시크 사용을 차단했다”며 “곧 내부 공지도 올릴 예정”이라고 전했다.

유한양행은 보안상 이유 등으로 딥시크나 챗GPT 등 생성형 AI를 사내에서 사용하지 않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또한 정보 보안 유출 위험성 등을 고려해 이미 지난해부터 챗GPT 등 AI 관련 사이트를 차단 중이며 중국 딥시크도 출시 후 즉시 차단한 상태다. 이 외에 카카오헬스케어가 AI 사내 활용 정책에 따라 딥시크를 사내 업무 목적으로 사용을 지양한다고 이번 주에 안내한 것으로 알려졌다. 셀트리온은 딥시크를 포함한 AI 사용 방침과 관련해 사내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있다.

제약·바이오 업계가 연이어 딥시크 차단에 나섰지만 AI를 활용한 신약 개발에 영향은 없을 전망이다. JW중외제약 관계자는 “외부 생성AI 플랫폼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어서 크게 관련 없다”며 “자체 플랫폼이 있어서 챗GPT도 사용하고 있지 않다”고 전했다. 대웅제약과 한미약품도 신약개발에 있어 자체 AI 플랫폼 활용하고 있다. 루닛과 헬스케어 스타트업 숨빗AI는 자체적으로 AI 모델을 개발하고 있어 딥시크 등 타사 모델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정부 부처들도 딥시크 접속 차단에 대거 나서며 보건복지부도 관계부처와 사용 수칙 협의에 나섰다. 복지부 관계자는 “규칙 등이 정해지면 공지할 예정”이라며 “다른 부처와 유사하게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딥시크만 별도로 사용을 차단하지는 않고 있지만 생성형 AI를 업무에 활용할 경우 행정안전부 지침에 따른 보안 업무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전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