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는 캄보디아에 구금 또는 감금된 한국인 청년 송환을 두고도 맞붙였다. 더불어민주당은 ‘송환’ 자체에 의미를 부여했고, 국민의힘은 이들 상당수가 범죄 피의자를 점을 강조했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캄보디아에 급파했던 여당 ‘재외국민 안전대책단’ 김병주 단장은 19일 국회에서 브리핑을 열고 “정부와 긴밀한 공조를 통해 3명을 (추가로) 구출했다”며 (3명 중) 1명은 제 지역구인 남양주에 거주하는 20대 정 모씨”라고 말했다. 김 단장은 “구출한 청년들을 본 순간 ‘대한민국이 우릴 포기하지 않았구나’라는 감사의 눈빛을 잊을 수가 없다”고 말했다. 대책단 소속 김병주·임호선·홍기원·황명선 의원 등은 15일 캄보디아로 파견됐다가 18일 귀국했다. 김 단장은 “캄보디아 하원에 한국인 범죄 예방을 위한 ‘코리안 데스크’ 설치를, 상원에는 ‘대한민국-캄보디아 합동 수사 TF’ 설치를 제안했다”고 했다.
다만, 경찰 출신 임호선 의원은 “(송환된 이들의) 이중적 지위는 분명하다”며 “범죄단지 내에선 피해자이지만 송환된 경우 수사를 통해 범죄 행위를 소상히 규명해야 할 범죄자이기도 하다”고 했다. 경찰은 18일 송환한 64명 전원을 전화금융 사기에 가담한 혐의로 체포했다.
반면, 최보윤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피의자 송환을 ‘실적’으로 포장한 정부의 대응은 국민 안전을 포기한 것”이라고 했다. 조용술 대변인도 “정부가 자화자찬한 ‘신속 대응’은 ‘범죄 피의자’를 전세기까지 동원해 구출하는 것”이라고 했다. 주진우 의원은 “납치된 국민을 구출하랬더니 범죄로 구금된 64명을 송환했다. 문신을 보고 국민이 놀랐다”고 했다.

여당 대책단 파견은 현지에서 예상치 못한 파열음을 내기도 했다. 사업가라 밝힌 이창훈씨는 18일 페이스북에 김병주 의원을 겨냥해 “수십 명을 구출하고 돌려보낸 여러 교민도 가만히 있는데, 구도를 짜고 와서 스스로 홍보하는 모습은 허탈하고 화가 난다. 교민들을 두 번 죽였다”고 썼다. 한 커뮤니티엔 여당 의원과 일부 교민이 접견한 사진과 함께 “교민 사회에 기생하는 인간들이 뭘 대표한다고 국회의원과 대화를 하느냐”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대응책을 두고 여당 내 혼선도 드러났다. 전현희 민주당 최고위원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군사적 조치도 배제해선 안 된다. 국민이 희생이 계속되면 캄보디아 ODA(공적개발원조) 중단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지만, 30분 뒤 같은 장소에서 김병주 최고위원(단장)은 “군사 조치는 고려 요소가 아니다”라고 했다.

김병기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범죄자를 처벌해도 우리 국민이면 우리가 데려와서 처벌해야 한다”면서 ‘군사적 조치’에 대해선 “(군은 해외 활동에서) 무법성을 인정받지 않는다. 그 부분에 발언은 극히 신중해야 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