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유심 해킹사태에 유통·물류업계도 '보안강화' 대책 가동

2025-05-05

신세계·롯데 통합ID 본인인증 제한…회원 계정 보호

디지털화된 물류인프라 점검…배송정보 관리에도 신경

정보 암호화 등 안전장치 마련…위험요소·이상행위 모니터링 강화

SK텔레콤[017670](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의 혼란이 커지면서 유통·물류업계도 보안을 강화하는 등 서둘러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마트[139480]는 지난달 29일부터 신세계포인트 통합 아이디(ID) 서비스에서 SKT와 SKT 알뜰폰 고객의 본인인증을 중단했다.

이번 조처는 신세계포인트 통합 ID를 쓰는 이마트와 이마트에브리데이, 이마트24, 신세계백화점, 시코르, 신세계사이먼, 신세계까사, 신세계DF, 신세계프라퍼티(스타필드) 등 9개 계열사에 적용된다.

이에 따라 SKT와 SKT 알뜰폰 고객은 당분간 신세계포인트 회원가입이나 정보변경 등이 제한된다.

이마트 관계자는 "현재까지 SKT 사태와 관련한 피해 사례가 접수된 적은 없으나 보안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조처한 것"이라며 "상황을 지켜본 뒤 정상 운영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롯데그룹 계열사 통합 ID(엘포인트)를 관리하는 롯데멤버스도 지난달 30일 오후 6시부터 같은 조처를 했다.

롯데 통합 ID는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롯데온 등을 포함해 24개 계열사, 49개 채널에서 사용 중이며 가입자만 3천만명이 넘는다.

롯데멤버스는 또 로그인 보안과 계정 보호조치를 강화하는 한편 이상 행위 모니터링을 병행하고 있다.

물류업계도 SKT 사태를 예의주시하며 물류시스템 보안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물류센터나 항만·창고 등 물류 인프라는 창고관리시스템(WMS), 운송관리시스템(TMS), 사물인터넷(IoT) 등으로 디지털화돼 네트워크 기반으로 작동한다.

이 때문에 한번 보안이 뚫리면 고객 정보가 유출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국가의 대동맥이라는 물류 인프라 전반에 혼란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

실제 2017년 덴마크의 글로벌 해운·물류기업인 머스크가 랜섬웨어(데이터 등을 암호화하는 악성 소트프웨어) 공격을 받아 해당 업체가 운영하는 76개 항만이 '올스톱'된 사례가 있다.

고객 개인정보가 포함된 배송 정보 관리도 물류업계의 보안 이슈 가운데 하나다.

CJ대한통운[000120]의 경우 배송을 완료한 후 관련 정보를 암호화해 보관하고 3개월 후에는 즉시 삭제하는 등 안전장치를 마련해뒀고 롯데글로벌로지스도 주기적으로 보안 위험 요소를 모니터링하는 등 대비를 강화하고 있다.

<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