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X(인공지능 전환) 카라반'이 M.AX(제조 AI 전환) 확산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산업통상부와 한국산업단지공단(산단공)이 지난 5월 출범시킨 AX 카라반은 제조 AI·로봇 솔루션을 산업단지 현장으로 직접 가져가는 '찾아가는 전환 프로그램'이다. 산업단지 내 공장들이 실제로 인공지능(AI)을 도입하고 학습하는 과정을 '보며 묻고 결정하는' 현장형 모델로 설계해 도입 속도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현장형 M.AX 플랫폼
AX 카라반은 AI 도입을 희망하는 기업이 대표공장을 직접 방문해 유사 업종·공정의 실증 사례를 눈으로 확인한다. 실무자와의 Q&A, 표준공정 교육 등을 거치며 제조AI와 로봇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구체화한 뒤 공급기업과의 비즈니스 상담을 매칭한다. 이를 통해 현장에서 도출된 수요를 즉시 솔루션사와 연결해 '도입→실증→확산' 로드맵을 완성한다.
공급기업은 초기 원프레딕트와 인터엑스, 마키나락스 등 20개 기업이 담당했는데, 올해 안에 100개 이상으로 확대한다. 수요기업은 산단 내 AI 도입 의향이 있는 약 4500개 기업이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과 산단경영자연합회(KIBA)가 이론 교육과 현장 투어를 공동 진행한다.
올 하반기 카라반은 총 9차례 일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7월에는 충남 서산오토밸리의 삼보오토에서 친환경차 부품 자동화 라인을 견학하고 '로봇 활용 표준공정 모델'을 실습했다. 8월에는 경남 창원국가산단 LG전자 'LG Smart Park'를 방문해 디지털 트윈·AGV·AI로봇 자동화 등 M.AX 레퍼런스를 벤치마킹했고, 경기 반월시화산단의 서보스타에서 물류로봇, 비전시스템, MES 솔루션 등 AI 공정 혁신 사례를 공유했다.
산단공은 9월 서울·대구권 매칭 상담회를 열고 도출된 수요를 공급사 협의로 연결했다. 10월에는 반월·시화산단 한국알앤드디, 11~12월에도 각 1회씩 현장 컨설팅을 순차 진행한다. 업종별 대표공장을 확대하고 예지보전·품질예측·비전·로봇·디지털트윈 등 AI 솔루션 스펙트럼도 넓혀가면서 AX 카라반에 참가한 수요기업들은 적합성 검증→투자 우선순위 도출→도입 결정으로 이어지는 시간을 대폭 줄였다. 산단공 관계자는 “AX 카라반을 통해 도입 결정을 하루 만에 내리는 공장도 생겼다”며 “AI 전환의 실행 속도가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빨라졌다”고 설명했다.
◇M.AX 파이프라인 정착
AX 카라반의 본질은 시간 절감이다. 하나의 현장에서 레퍼런스 비교, 적합성 검증, 로드맵 합의가 동시에 이뤄진다. 산단공은 이를 통해 '도입→검증→확산'의 구조적 파이프라인을 정착시켜 제조 현장의 M.AX 전환 리드타임을 단축할 계획이다.
업종·공정별 대표공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공급풀의 품질도 높일 계획이다. 제조 특화 AI·로봇·미들웨어 기업이 고르게 참여해야 설비·품질·물류·에너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AX 실증산단 구축사업'도 병행 추진 중이다. 2027년까지 국비 1400억원 포함 총 2000억원을 투입해 전국 10개 스마트그린산단에 AI 설비·5G 특화망·로봇 시험장비 등 테스트베드 공간을 조성한다. AI·로봇 전문기업, 입주기업, 대학, 연구소가 협업해 제조 현장 중심의 실증과 상용화를 병행할 예정이다.
이상훈 산단공 이사장은 “산단 AX 카라반은 M.AX로 향하는 산업 전환의 선도 플랫폼이 될 것”이라며 “산단 제조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AI 생태계 구축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전자신문-한국산업단지공단 공동기획
안영국 기자 ang@etnews.com


![세계 정상 모이는 APEC, 스타트업도 IT 역량 지원 [스타트업 스트리트]](https://newsimg.sedaily.com/2025/10/29/2GZD8Y731L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