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오픈랜 표준화 기구 O-RAN 얼라이언스, 'FILM' 기술 문서 발간
국내 통신사 최초로 오픈랜 피처 단위 표준화 주도
13개 글로벌 통신사·장비 제조사와 협력해 기술 요구사항 정리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SK텔레콤은 29일 O-RAN 얼라이언스(O-RAN Alliance)에서 무선망 데이터 수집 고도화 기술 'FILM(Filtered Measurements)'의 기술 문서를 공식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작업은 SK텔레콤이 제안하고 주도한 결과로, 국내 통신사가 오픈랜 피처(Feature, 특성) 단위 표준화 작업을 주도한 첫 사례다.
O-RAN 얼라이언스는 지난 2018년 설립된 글로벌 개방형 무선접속망(Open RAN) 표준화 기구로, 삼성전자·에릭슨·노키아·엔비디아 등 약 300개 글로벌 통신 장비 제조사와 연구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SK텔레콤은 회원사로 활동하며 지난해 한국 기업 최초로 O-RAN 표준 회의를 주최했다.
'FILM'은 네트워크 AI의 학습과 추론에 필요한 통신 품질 데이터를 선별적으로 수집하는 기술이다. 기존에는 전체 단말의 평균 성능 수치를 기반으로 품질을 분석했지만, FILM은 신호 세기나 위치 등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단말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수집해 보다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다.

SK텔레콤 측은 "FILM을 통해 목적에 맞게 확보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AI는 학습과 추론을 수행해 네트워크 품질을 한층 효과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다"며 "또한 FILM은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제조사 장비가 함께 구성된 환경에서도 일관된 형식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AI가 제조사 구분 없이 동일한 형태의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전했다.
SK텔레콤은 AI 기반 네트워크 품질 향상을 위해 정확하고 표준화된 데이터 수집 체계를 필수 요소로 보고, 지난해 2월 FILM을 O-RAN 얼라이언스에 신규 표준화 피처로 제안했다. 같은해 8월에는 정식 승인 이후 표준화 책임사로 참여해 13개 글로벌 통신사 및 장비 제조사와 함께 기술 문서를 완성했다.
SK텔레콤은 오픈랜을 이동통신과 AI의 융합 기술인 '네트워크 AI(Network AI)' 실현의 핵심으로 보고, AI를 활용한 망 품질 고도화와 운용 효율화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작년에는 AI 기반 기지국 파라미터 최적화 기술을, 올해 'MWC25'에서는 AI 기지국의 연산 자원 관리(Orchestration) 기술을, 지난 4월에는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 상용 환경 실증에도 성공했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기술본부장은 "Filtered Measurements는 네트워크 AI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로, 이번 표준 문서 발간은 그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주요 사업자 및 제조사와 협력을 확대해 관련 기술 표준화를 선도하고 미래 네트워크 진화를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dconnect@newspim.com

![[K-오픈소스]네오클로바, “AI 시대 최적화된 오픈소스 기술지원”](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0/27/news-p.v1.20251027.aa081f476db045299ec7a09507845939_P1.jpg)




![[K-오픈소스]유엔넷, “AI 시대 맞춤 '데이터 레이크하우스' 주도할 것”](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0/27/news-p.v1.20251027.f0ad2e3a3cf148fbb4975eac95331746_P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