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13회 심의회의 개최
농림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안 등 심의·의결

농림축산식품부는 농림식품 분야 연구개발(R&D) 패러다임을 중장기·대형 사업체계로 전환한다. R&D 기획단계에서 농촌진흥청과 공동기획단 역할도 확대한다.
또 범부처 R&D 통합 관리와 협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예산, 인력 등 인센티브 제공도 추진한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28일 제13회 심의회의를 개최해, 제4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안)(2025~2029)과 범부처 연구관리 전문기관 혁신방안(안) 2개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중장기·대형사업체계 전환…민간 현장 중심 R&D 확대
농림식품과학기술육성법 제5조에 따라 농림식품과학기술 분야 R&D 중장기 정책방향과 중점 전략과제 등을 반영한 제4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을 심의했다.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은 향후 5년간 농림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과학기술 연구개발(R&D)의 중장기 로드맵을 제시하는 농림식품 연구개발 최상위계획으로 농식품부, 농촌진흥청, 산림청이 추진하는 정책과 기술전략을 유기적으로 통합해 공동 수립했다.
전략과제는‘첨단융복합기술 기반 글로벌 농림식품 기술경쟁력 확보 및 혁신생태계 조성을 통한 민간 산업 활성화’를 핵심목표로 마련했다.
농식품부는 농림식품분야 첨단기술이 농업 현장과 산업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한 정책전략 4대 분야를 제시했다.
먼저 임무지향형 중장기·대형 사업체계로 R&D 투자 패러다임을 전환한다.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한 다부처·타분야 융복합 연구를 발굴하고 국제협력 등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모든 R&D 기획 단계에 농식품부·농진청 공동기획단 역할도 확대한다. 안정적인 사업 평가·관리와 성과확산을 위한 전문기관의 역량(인력·조직 등)과 기능을 정비해 부·청 R&D 추진체계를 효율적으로 개선해 나간다.
R&D 혁신 인프라 조성을 위해 농림식품분야 연구인력 역량 제고 프로그램 개발과 우수연구인력 양성사업을 다변화하고, 기술혁신형 기업 지원 및 지역 R&D 네트워크 확대를 통해 민간·현장 중심의 R&D를 활성화한다.
민간주도 연구성과 창출·확산 체계 강화를 위해 기술금융 연계 강화 등 기술기반의 창업 활성화 지원을 확대해 신속한 연구성과의 실용화를 촉진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기술전략부문의 중점 연구분야로 5대 전략분야(농림식품산업 미래성장, 기후변화·재해 대응, 고품질 안전 농식품, 식량안보 강화 및 수급안정, 지속가능 농산촌) 16대 중점기술 추진과제를 선정하고 향후 5년간 농림식품 과학기술을 이끌어 갈 기술개발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R&D 협업 시 예산·인력 인센티브…DARPA형 PM 제도 도입도
19개 부처·청이 공동으로 ‘범부처 연구관리 전문기관 혁신방안’도 의결됐다.
부처‧기관 간 경계를 넘어서는 R&D의 통합적 관리 및 협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예산, 인력 등 인센티브 제공을 추진한다. 신규 범부처 사업은 추진체계를 중점 검토해 실질적인 협업과 기능적 연계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세계 최고 R&D를 위한 전략적 관리체계 강화를 위해 혁신도전형 ‘앞으로(APRO) R&D 사업’에 DARPA형 PM 제도를 도입한다. 사업관리의 주요 의사 결정권 및 책임을 부여하고 사업성과 창출 촉진을 위해 민간의 역량을 활용해 연구기획·관리·성과확산을 지원하는 협업체계(가칭 PARTNERS)도 구성할 계획이다.
R&D 관리 프로세스 전반에 개방성과 전문성, 책임성을 강화한다. 대표학회, 기업 등을 중심으로 신규 R&D과제 후보풀을 제안받는 개방형 기획을 확산한다. 기획 전담 조직 확충 등 전반적인 기획역량 강화를 추진한다.
또 학회 추천, 사업화 전문가, 해외 우수연구자 등을 평가위원 후보단으로 대폭 확충하고 우수 평가위원에 인센티브 부여 및 평가수당 상향을 통해 전문성 있는 평가체계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