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소기업 임금격차 크면 출생아 수 줄어든다는데…

2025-11-24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커지면 출생아 수가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원석 파이터치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의 '대·중소기업 임금 격차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24일 발표했다.

기획재정부 감독을 받는 비영리 재단법인인 파이터치연구원은 경제정책 전반을 연구하는 기관이다.

연구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대·중소기업 임금 격차가 17.8% 증가해 출생아 수가 3만 명 이상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6개 국가의 2008년부터 2020년까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중소기업 임금 격차가 1% 증가하면 출산율은 0.005명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한 책임연구원은 위 분석 결과를 우리나라의 최근 10년간 대·중소기업 임금 격차 증가율에 적용했다. 국가별 차이점을 제거하고 임금 격차와 출산율 간 순효과를 분석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대·중소기업 임금 격차는 최근 10년간(2015~2024년) 17.8% 증가했고,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2015년 출산율은 1.24명, 출생아 수는 43만 8420명이다.

보고서는 이같은 자료에 기반해 대·중소기업 임금 격차가 17.8% 증가해 출산율은 1.24명에서 1.15명으로 0.09명 감소한다고 봤다. 이를 출생아 수로 환산하면 3만 1467명 감소한다는 것이다.

대·중소기업 임금 격차와 출산율 간 강한 반비례 관계가 있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대·중소기업 임금 격차는 2011년 185만 원에서 2024년 258만 원으로 증가했고, 출산율은 같은 기간 1.24명에서 0.75명으로 감소했다.

2011년부터 2024년까지의 두 지표의 상관계수를 계산하면 -80%로, 대·중소기업 임금 격차가 증가할수록 출산율이 감소했다.

한원석 책임연구원은 "대·중소기업 임금 격차가 확대되면 출산율이 감소하므로 중소기업 근로자의 양육 부담을 줄이고 급여 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