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독재정권 무너뜨린 시리아 과도 정부와 수교 본격 검토

2025-02-11

한국의 유일한 '미수교 유엔 회원국'.

중동의 대표적 '親北 국가'...최근 54년 독재 종식

외교부 당국자 시리아 방문 "수교 의사 확인"

[서울=뉴스핌] 유신모 외교전문기자 = 정부가 바샤르 알아사드 독재 정권을 축출한 시리아 과도 정부와 수교를 본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시리아 과도 정부도 한국과의 수교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시리아를 방문하고 돌아온 외교부 당국자는 11일 기자들과 만나 "국제사회 동향과 시리아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확인했고, 시리아 과도정부의 수교 관련 환영 의사도 확인됐다"면서 "수교를 위한 제반 환경이 우호적으로 조성되고 있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최근 시리아 다마스커스를 방문해 아스아드 알-샤이바니 시리아 과도정부 외교장관 등을 면담했다. 시리아는 유엔 회원국 중 한국과 수교하지 않은 유일한 국가다. 만일 수교가 이뤄진다면 시리아는 한국의 194번째 수교국이 된다.

시리아는 하페즈 알 아사드에 이어 그의 아들인 바샤르 알 아사드가 정권을 세습해 54년 동안 유혈 독재를 유지해왔다. 시리아는 같은 '세습 독재국' 북한과 매우 끈끈한 관계를 가진 '북한 우호국'이기도 했다.

뱌샤르 알 아사드 전 대통령은 2011년 '아랍의 봄'을 계기로 시리아 내전이 촉발된 뒤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반군과 전쟁을 벌이며 화학무기를 사용하는 등 '중동의 학살자'로 악명을 떨쳤다. 그는 지난해 12월 이슬람 수니파 무장 조직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HTS)이 이끄는 반군이 수도 다마스쿠스에 진입하자 러시아로 도피했다.

이 당국자는 "시리아 과도 정부는 과거 지하디스트(이슬람 극단주의 무장조직) 이미지를 벗고 국민적 여망과 국제사회 요구에 부응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정치적으로도 국제사회가 요구하고 있는 포용성에 부응하려고 노력하면서, 경제적으로는 적극적 외교 행보로 재정적 지원을 확보하고 제재 해제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사드 정권이 무너지고 과도 정부가 들어선 이후 북한은 대사관을 철수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아사드 정권 당시에 긴밀한 관계를 맺은 국가들과의 관계는 최소화하겠다고 말했으며 당시 관계가 단절돼 있거나 대사관이 철수한 모든 국가와 외교 관계를 재개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opento@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