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 우세력' 약화 염려 확산 예상"
과거 '폭격기 격차', 군비증강 정당화
"드론 우선할 때 아냐, 저렴하지도 않아"
수혜와 피해 기업은? 노스롭과 GE 기대
이 기사는 1월 17일 오후 4시09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폭격기 격차' 재연? 미국 전투기 개발 다시 속도낸다 ①왜>에서 이어짐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4. "개발 다시 속도"
최근 미국 의회에서는 중국의 시제기 공개와 관련해 이렇데 할 이야기가 나오고 있지는 않지만 조만간 공군의 '공중 우세력' 약화 우려가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이체방크의 스콧 도이슐레 애널리스트)이 나온다. 일부 의원 사이에서는 NGAD가 패권 경쟁국에 대한 공중 우세를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이라는 목소리가 다시 퍼진다. 전체적인 전력의 우열 여부를 떠나 기술력이라는 상징적 가치에 대한 인식 변화가 염려돼서다.
그동안 전투기는 미국의 군사기술을 보여주는 상징으로 여겨왔다. 하지만 관련 분야에서 중국에 추월당하는 모습을 보이면 미국의 기술력 리더십에 대한 재평가가 전개될 가능성이 있다. 앞서 미국 공군의 앤드류 헌터 획득·기술·군수담당 차관보는 중국의 6세대 전투기 개발이 미국을 추월할 수 있다는 발언을 했다. 미국 공군의 더그 위커트 준장은 2027년까지 서태평양에서 중국의 현대식 전투기가 미군 대비 12:1로 우세해질 것이라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의회에서 관련 우려가 확산하면 미국의 6세대 전투기 개발은 배정 예산이 증액돼 다시 속도를 내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과거 미국에서 '폭격기 격차(Bomber Gap)'에 대한 인식과 우려는 미사일 격차 우려와 함께 미국의 대규모 군비증강을 정당화하는 핵심 논리로 작용했다. 1950년대 냉전 시기가 대표적으로 예를 들어 1952년부터 1962년까지 B-52 스트라토포트리스의 경우 총 744대가 생산됐다.
5. 드론 회의론
전문가들에 따르면 드론은 전술적인 수준에서는 효과적인 도구지만 전체 전쟁의 승패나 장기적인 군사 목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전략적 이점과는 거리가 멀다고 한다. 그 이유 중 하나로 거론되는 것이 작전 범위의 문제인데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사용된 자폭 드론의 평균 공격거리는 7마일(약 11.3km)에 불과했다. 태평양 지역에서 요구되는 700마일이나 1700마일의 작전 거리와는 큰 차이가 있다.
운용 비용이 기대만큼 경제적이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미국 국방부가 추진하는 레플리게이터 프로그램(2023년 8월 발표, 올해 8월까지 수천대의 드론을 배치)에서 관련 드론은 상용 제품 대비 5배 높은 비용이 발생해 대규모 전력화가 이뤄질 경우 오히려 예상보다 과한 운용비용으로 인해 지속가능성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각 제품이 엄격한 기술 기준(군사규격)을 갖춰야 하는 데다 AI 소프트웨어까지 탑재해야 한다는 것이 비용 우려의 배경이다.
6. 수혜, 피해는
미국의 6세대 전투기 개발이 재차 속도를 낼지는 오는 20일 출범하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결론을 낼 것으로 전망된다. 행정부 인선이 마무리되면 사안별 우선순위 조정 등 최종 결정이 내려질 것으로 전망된다. 아직 방향성을 가늠하기는 힘든 단계이나 과거 트럼프는 중국에 대해 '페이싱 챌린지(직면한 도전)'라고 여러 번 언급하며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에 대응하기 위해 공군과 해군력을 증강해야 한다고 했다.
6세대 개발에 힘이 실린다면 방위 기업 중 수혜와 피해의 기준은 5세대인 F-35 프로그램에 관여된 업체인지에 따라 나뉠 것으로 전망된다. 먼저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되는 기업으로는 주 계약업체인 록히드마틴(종목코드: LMT)과 F-35의 레이더 및 통신 장비 등을 공급하는 레이시온테크놀로지스(RTX)이 언급된다. 아울러 F-35의 구조물 부품을 공급하는 하우멧에어로스페이스(HWM)에도 피해가 예상된다.
록히드마틴은 F-35 주 계약업체로 관련 전투기의 개발·생산·유지보수를 총괄하는 곳이다. 현재 록히드마틴의 F-35 수주 물량은 작년 말 기준 2500여대다. 틸그룹의 게르틀러 애널리스트에 따르면 연간 약 180대의 생산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현재 연간 생산능력은 156대다. 이미 확정된 계약은 이행되겠지만 신규 발주나 추가 계약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수혜주는 노스롭그루만(NOC)이나 제너럴일렉트릭(GE)이 거론됐다. 특히 노스롭그루만은 이미 B-21 레이더 개발을 통해 6세대 기술을 실증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노스롭그루만은 F-35에 동체 부품만 공급하고 있어 관련 프로그램의 위험에 대해 전반적으로 노출도가 낮다는 분석이 있다. GE 역시 F-35 프로그램에 깊이 관여되지 않은 한편 6세대 전투기 개발의 핵심 요소인 '차세대적응형추진 시스템(엔진이 비행 상황에 따라 스스로 성능을 변화)'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bernard02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