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과 한국수력원자력 최고 경영진이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공사비 정산 분쟁과 관련해 실무협의를 연장하기로 합의했다. 모기업과 자회사 관계인 양사가 국제 중재 절차에 돌입하며 갈등을 키우는 상황은 피하자는 데 뜻을 같이했다.
김동철 한전 사장, 황주호 한수원 사장 등 양사 최고 경영진은 31일 오전 서울 서초동 한전아트센터에서 만나 바라카 원전 공사비 정산 분쟁 실무협의를 이어가기로 합의했다.
한전·한수원 측은 “한수원이 제기한 클레임과 관련해 양사의 입장과 이견을 확인했다”면서 “양사 사장은 시간을 갖고 이견을 줄여보자는 데 합의하고 이를 위한 실무협의를 추가로 이어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양사 최고 경영진은 이날 UAE 바라카 원전 공사비 정산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만났다.
한전은 2009년 한수원 등과 구성한 팀코리아의 대표로 나서 20조원 규모 바라카 원전을 수주했다. 바라카 원전은 한국의 첫 해외 수주 원전으로 1400㎿급 신형경수로 APR1400 노형 4기로 구성됐다.
현재 1~4호기 모두 상업 가동에 들어가 K-원전의 우수성을 해외에 입증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팀코리아는 공사비 정산을 두고 내홍을 겪고 있다.
원전 건설 이후 최종 정산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총공사비가 2009년 계약 당시 예상보다 증가했고 한수원은 지난해 말 한전에 정식으로 추가 비용 정산을 요구했다. 약 1년여간의 협상에도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서 양사 갈등은 국제 분쟁으로 비화할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한전, 한수원은 바라카 원전 최종 정산과 관련해 런던국제중재법원(LCIA)에서 진행될 재판에 대비해 각각 국내외 법무법인을 선임했다.
원전 업계는 한수원이 청구한 추가 비용 규모를 10억달러(1조4400억원) 안팎으로 보고 있다.
이날 협의로 양사가 국제 중재 절차에 돌입하며 갈등을 키우는 상황은 당분간 벌어지지 않게 됐다. 일각에선 모기업·자회사 관계인 양사가 조만간 합의안을 도출, 갈등을 해소할 공산이 크다는 관측도 나온다.
원자력 업계 관계자는 “한수원은 공사비를 제대로 정산하지 못할 경우 배임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 한전에 명확한 근거와 절차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양측의 입장이 극명하게 대립하는 사안은 아니기 때문에 합의에 이를 공산이 충분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전 관계자는 “협의를 통해 빠른 시일내에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호 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