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자신이 이끄는 인공지능(AI) 기업 xAI의 차세대 모델 ‘그록5(Grok5)’로 리그 오브 레전드(LoL) 최정상 프로팀과의 맞대결을 제안했다.
25일(현지시간) 머스크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그록5가 2026년 최고의 LoL 인간 팀을 이길 수 있을지 시험해보고 싶다”고 밝혔다. 그록5는 xAI가 개발 중인 차세대 AI 모델로 내년 1분기 공개할 예정이다.
머스크는 “그록5는 게임 설명서만 있어도 스스로 실험하며 게임을 배울 수 있도록 설계됐다”고 말했다. 기존 AI처럼 특정 게임만 잘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게임의 규칙과 전략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그는 LoL 프로팀과의 대결 조건도 제시했다. 그록5는 모니터 화면만 보고 ‘인간의 정상 시력 수준(20/20, 한국 기준 1.0)’으로 인식하며 인간 수준의 반응 지연 시간과 클릭 속도를 적용하겠다는 것이다.
이 같은 제안에 LoL 팬들의 시선은 자연스럽게 ‘T1’로 향했다. 최근 ‘월즈(LoL 월드 챔피언십)’ 3연패를 달성한 T1은 세계 최강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페이커’ 이상혁이 AI와 맞붙게 될 가능성에 팬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T1은 머스크의 글이 공개된 직후 SNS를 통해 페이커의 시그니처 포즈(‘쉿’ 제스처)를 담은 짧은 영상을 올리며 “우린 준비됐다(We’re ready)”고 화답했다.
AI가 인간 최정상과 맞붙는 사례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16년 구글 ‘알파고’가 이세돌 9단과의 바둑 대결에서 승리했고, 오픈AI는 2019년 '도타2' 국제 대회 '디 인터내셔널(TI) 2018' 우승팀인 OG를 상대로 완승을 거둔 바 있다. 오픈AI는 당시 '오픈AI 파이브'라는 5인조 AI 봇 팀을 꾸려 10개월 동안 4만5000년 분량의 '도타 2' 게임 플레이를 하며 경기력을 학습했다. 다만, 이번 도전은 특정 게임에만 특화된 ‘전문형 AI’가 아니라, 스스로 학습하는 ‘범용 AI’라는 점에서 한 단계 진화한 도전으로 평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