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 4020만원' 천차만별 산후조리비, 최고-최저 33.5배 차이

2025-10-10

2주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비용이 전국 최고가는 4020만원, 최저가는 120만원으로 이용 요금 차이가 33.5배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 의원(더불어민주당)은 보건복지부가 제출한 전국 산후조리원 비용 자료를 10일 공개했다. 2025년 6월 기준 일반실 이용요금은 서울 강남의 A와 H 산후조리원이 170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전북 군산의 M 산후조리원이 120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특실 최고가는 강남의 D 산후조리원 4020만원, 최저가는 전남 강진군 공공산후조리원으로 154만원으로 집계됐다. 특실 최고가 금액은 2021년 조사에서 2주에 2600만원이었으나 4년 새 1.5배 상승했다.

일반실 요금 상위 10곳 중 7곳이 서울 강남구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는 서울 용산구ㆍ강서구, 경기 성남시에 각각 1곳씩 분포했다. 상위 10곳의 평균 이용요금은 1260만원으로, 하위 10곳의 평균 이용요금인 150.1만원 대비 약 8.4 배 (약 1110만원 차)에 달했다. 특히 비용 최저가 10곳 중 6곳은 공공산후조리원으로 나타났다.

복지부 ‘2024년 산후조리 통계’에 따르면 산모 10명 중 8명이 산후조리원을 이용하지만, 전국 산후조리원 수는 2021년 519곳에서 2024년 460곳으로 감소했다. 일반실 평균 이용요금은 같은 기간 232만원에서 355만원으로 100만원 넘게 상승했다. 남인순 의원은 “시설 수는 줄고 비용은 오르면서 산모들이 경제적 여건에 따라 적절한 산후조리시설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가 점점 제한되고 있다” 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공공산후조리원의 일반실 평균 이용금액은 약 174만원으로 민간대비 절반 수준이지만, 전국에 설치된 공공산후조리원은 21곳에 불과하다”라며 “공공산후조리원 확대 설치를 통해 산모들이 더욱 합리적인 비용으로 만족도 높은 산후조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복지부 조사에서 산모들이 정부에 가장 많이 요구한 출산 관련 정책은 '산후조리 관련 비용 지원(60.1%)'으로 나타났다. 또 산후조리원을 선택할 때 '집이나 병원과의 거리(59.1%)' 를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꼽았고, 이어 '가격 대비 시설이나 프로그램 수준(32.5%)', '가격이 저렴한 곳(19.9%)' 순으로 응답했다.

남 의원은 “여전히 공공산후조리원은 민간 대비 절반 수준 비용으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전체 산후조리원 중 5%에도 못 미친다”라며 “출산비용 불평등을 완화하고 저출생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협력해 공공산후조리원 확충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