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추진하는 '국가인공지능(AI)컴퓨팅센터' 사업 참여 접수 마감이 한 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컨소시엄(컨소) 구성을 위한 업계 움직임이 분주하다.
통신사, 클라우드 사업자를 비롯해 지방자치단체 등 사업 참여자가 다양한 만큼 접수 막판까지도 이해관계를 따진 물밑 작업이 치열할 전망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내달 19일부터 30일까지 국가AI컴퓨팅센터 사업참여계획서를 접수받는다.
이 사업은 국가 전용 AI 데이터센터를 설립한다는 상징성 때문에 올 초 사업 공고 당시부터 업계 관심이 뜨거웠다.
지난 2월 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사업참여의향서 접수를 마감했을 당시 100개가 넘는 기업·지자체 등이 의향서를 제출하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하루 전인 28일에는 김태흠 충남지사가 도청 실국원장회의에서 “국가 AI컴퓨팅센터 천안 유치를 위해 행정력을 집중해 달라”고 주문하는 등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이들은 접수 마감 한 달이 남은 상황에서 컨소 구성 등 준비 작업에 한창이다. 다만 아직 컨소를 확정짓거나 주사업자로 나서겠다는 의지를 밝힌 곳은 없다. 그만큼 신중을 기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런 분위기는 주 사업자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통신사에서 가장 많이 감지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한 통신사 경우 사업 참여를 철회했다가 다시 재검토하는 상황”이라며 “다른 통신사들 역시 참여를 준비하지만 내부에서 여러 시각이 존재한다”고 전했다.
업계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업 참여 요건은 수익성이다. 특히 수익성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 중 하나인 '지분율'이 검토 기간을 길어지게 하는 요인 중 하나로 떠올랐다.
이 사업은 공공과 민간이 4000억원 가량을 공동 투자해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운영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지난달 과기정통부가 배포한 공모 지침서에 따르면 공공·민간 지분율이 51%·49%로 공공이 높다. 이 경우 민간 자율성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고심하는 기업이 적지 않다.
업계 관계자는 “몇몇 우려되는 부분은 있지만 '국가AI컴퓨팅 자원을 운영한다'는 사업 참여 명분과 당위성이 확실한 만큼 지자체와 업계 간 컨소 구성을 위한 접촉이 계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와 관련해 과기정통부도 최근 개별 기업과 면담 등을 통해 사업 참여를 독려하는 등 의견을 청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다음달 접수를 마감한 후 평가 등을 거쳐 이르면 8월께 최종 컨소를 선정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참여의향서를 제출한 기업 대상으로 공모지침서를 전달했고 여기서 현재 바뀔 부분은 없다”면서 “중대한 변동 사항이 없다면 일정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용어설명=국가AI컴퓨팅센터
정부와 기업이 공동출자해(자본금 총 4000억원)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AI 인프라를 구성, 기업 등에 이를 지원하기 위해 기획된 사업이다. 총 예산 2조원 이상이 투입되는 대형 사업으로 올해 사업자를 선정, 2027년 개소를 목표로 한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현대인 기자 modernm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