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부산 이전·북극항로 대항은
금융 종속화… 경남은행도 부산서 관리
"경남도, 파이어니어 정신없이 미래 없다…." 경남도민 1인당 도민소득이 전국 꼴찌 탈출을 위해 요구되는 전략적 사고보다 낙수효과를 기대하느냐는 비판 목소리가 나온다. 신해양패권을 겨냥한 북극항로 개발, 해수부 이전, 동남권투자은행 부산 설립에도 경남의 목소리는 거의 없다.
이러한 긴박함에도 경남도는 신해양패권 북극항로 개척을 위한 로드맵은커녕, 적극적이지 않다. 부산은 물론, 대구·경북까지 21세기 '게임 체인저'인 북극항로 선점을 위한 복합 전략을 앞세우며 새로운 기회 모색에 나섰다. 북극항로는 기존 수에즈 운하를 통하는 항로보다 약 30% 이상 거리가 단축되는 최단 항로로, 부산에서 네덜란드 로테르담까지 이동할 경우 항해일수를 최대 10일 이상 줄일 수 있다.
연료비, 인건비를 포함한 물류비 절감 효과가 커지며, 유럽 수출입 경쟁력 확보에도 유리한 조건을 갖춘다.
이재명 정부는 북극항로를 새 성장 전략으로 강조하며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북극항로 정책 컨트롤타워 조성 등을 추진 중이다. 한국 해양수산부는 2030년쯤 북극항로의 연중 항해 가능성을 전망하고 있다.
이는 새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이전 발표에도 경남 이전 요구는커녕, 신항 이전을 원하는 등 소극 행정에서 비롯된다. 그 결과 해수부는 부산 동구 이전을 확정했다. 또 부산에는 BNK지주은행이 부산 및 경남은행을 관장, 현 경남은행은 사실상 경남도민은행이 아니다. 이를 두고 도민들은 금융의 부산 종속화라는 말이 나온다. 그런데도 새정부는 부산에 동남권투자은행 설립을 약속했다. 이에 대해 경남도민들은 "제주도, 전북도에도 지방은행이 소재하는데 330만 인구 경남도에 지방은행이 없다는 것은 지나친 경남 배제 정책이다"고 말했다.
따라서 "대정부 건의를 통해 동남권투자은행 경남 설립 또는 경남은행 경남도민 주주운동으로 도민 은행화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