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가축분뇨 고형연료를 발전소 연료로 활용하기 위한 실증에 착수했다. 농림축산식품부·환경부·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가 실무협의체를 꾸려 정책 논의에 들어갔으며, 이르면 다음 달 한국남동발전 여수 발전소에서 시험 연소가 이뤄질 전망이다.
20일 농식품부에 따르면 남동발전은 여수 지역 발전설비에서 고형연료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현장 점검과 기술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실증에서는 축산 분뇨를 건조·압축한 고형연료가 발전소 실제 운전에서 어느 정도의 연소 효율을 발생하고, 배출 특성은 무엇인지가 검증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같은 연료라도 발전설비에 따라 반응이 다르다”며 “연소 안정성과 발전 효율, 환경 배출 수치를 실증을 통해 검증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농식품부는 지난해 6월 농협·경상북도·국립축산과학원, 남부발전과 함께 하동 발전소에서 고형연료 425톤을 시험 연소하는 선행 실험을 진행한 바있다. 이 과정에서 발전 연료 가능성을 확인했고, 이어 11월 농협경제지주, 농식품부, 환경부, 남부발전이 '고체연료 활용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범부처 협력 체계를 공식화했다.
정부는 농식품부·환경부·산업부·농진청 등이 참여하는 실무협의체를 운영 중이다. 협의체는 고형연료 품질 기준 마련, 분뇨 자원화 지원제도 개선, 대기오염물질 배출 기준 적용 가능성 등 실무 과제를 논의 중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관계부처가 함께 고형연료 활성화 방안을 강구하고 있고, 정책화 전환 단계”라고 말했다.
정부는 고형연료 사용으로 축산환경 개선과 에너지 자립, 온실가스 감축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30년까지 하루 4000톤 규모 고형연료 활용을 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통해 연간 약 160만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이는 10인승 이하 자동차 약 110만대가 연간 배출하는 온실가스량과 맞먹는 수치다.
현재 가축분뇨 중 상당량을 차지하는 우분(소똥)은 대부분 퇴비화되며, 이 과정에서 메탄 등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하천 인근에 쌓인 분뇨는 강우 시 녹조를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 지목돼 왔다. 고형연료는 분뇨를 건조·연료화해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어 온실가스 감축과 수질 개선 효과를 동시에 낼 수 있다.
환경부는 작년 3월 고형연료 보조원료 확대를 위한 실증특례를 허용했고, 농식품부는 같은 해 6월 시험 연소를 통해 기술 가능성을 점검했다. 양 부처는 제도 기반을 마련하고 대형 발전사 등 민간 수요처와의 연계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실증으로 연료 타당성을 입증한 뒤 민간발전 업계에도 공급한다는 구상이다.
한편, 농협은 고형연료 생산과 공급 주체로서 생산시설 확대와 품질 관리 체계 구축에 나섰다. 농협경제지주 관계자는 “전국 주요 지역에 고형연료 생산 기반을 확충하고, 발전사 수요에 맞춰 물류·품질·안전 관리를 일원화해 나갈 것”이라며 “지속가능한 친환경 축산을 위한 핵심 자원화 모델로 고체연료를 정착시키겠다”고 밝혔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