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입형 영상·사진 체험, 제미나이·지도·게임까지 결합
완성된 상용 제품이자 '넥스트 스마트폰' 향한 첫 단계.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삼성전자의 '갤럭시 XR'을 착용하자, 현실의 공간이 곧바로 몰디브로 바뀌었다. 맑은 바다 위에 서 있는 듯한 공간이 펼쳐졌고, 고개를 돌리면 수평선과 하늘이 자연스럽게 이어졌다. 영상이 시선 움직임에 즉각 반응하며 실제 그곳에 있는 듯한 착각을 일으켰다.
삼성전자가 22일 출시한 갤럭시 XR은 인공지능(AI) 비서 '제미나이(Gemini)'와 구글 지도·유튜브 등 주요 앱을 결합한 첫 안드로이드 XR 기반 기기다. 사용자는 음성, 시선, 손 제스처로 기기와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AI가 대화 맥락과 시선 이동을 함께 인식한다.
◆ 사진과 영상에서 체감된 '공간의 깊이'
갤럭시 XR은 기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는 다른 조작 방식을 제시했다. 기기를 착용하고 손가락을 모으면 클릭이 되는 '핀치(Pinch·꼬집다) 제스처'가 기본 인터페이스로, 손의 움직임과 시선으로 화면을 조작하는 구조다. 처음에는 조작감이 익숙하지 않았지만, 짧은 튜토리얼을 거친 뒤에는 반응 속도와 인식 정밀도가 안정적으로 느껴졌다.
갤럭시 XR의 갤러리 앱에서는 핀치한 상태로 위아래로 움직이면 스크롤이 가능했다. 3D 이미지를 선택하자 일반 사진보다 입체감이 뚜렷했고, 360도 카메라로 촬영된 사진을 실행하니 상하좌우로 고개를 돌릴 때마다 풍경이 함께 움직였다.


유튜브의 360도 영상에서는 몰입감이 한층 강화됐다. 몰디브 바다 영상을 재생하자 맑은 수면 위에 서 있는 장면이 눈앞에 펼쳐졌고, 시선 이동에 맞춰 하늘과 바다가 자연스럽게 이어졌다. 영상의 반응 속도가 빨라 사용자의 움직임과 시각적 경험이 거의 동시에 맞물렸다.
현재 유튜브에는 XR에서 최적화된 영상 약 100편이 'Spatial(스페이셜)' 탭을 통해 큐레이션돼 있다. 다만 이 기능은 XR 전용 유튜브 앱에서만 활성화되는 메뉴로, 일반 스마트폰이나 PC에서는 해당 탭을 확인할 수 없다.
◆ "제미나이, 뉴욕으로 안내해줘"…AI 시연
현장에서는 제미나이와 구글 지도를 연동한 공간 이동 시연도 함께 공개됐다. "제미나이, 뉴욕 맨해튼의 피자 맛집을 찾아줘"라는 음성 명령에 따라 3D 지도 화면이 전환됐고, 해당 식당의 내부 모습도 볼 수 있었다. 실제 공간 안으로 들어간 듯한 시점에서 인테리어와 조명, 테이블 배치 등 분위기를 살펴볼 수 있었으며, 사용자의 음성과 시선, 제스처가 동시에 반응하는 멀티모달 AI 기반 제어 시스템이 강조됐다.

게임 콘텐츠로는 농장 경영 게임 '스타듀밸리(Stardew Valley)'가 시연됐다. 사용자가 나무나 돌을 손가락으로 집는 동작을 하면 캐릭터가 해당 위치로 이동해 농장을 정리하는 장면이 재현됐다. XR 공간에서 손 제스처가 곧 캐릭터의 행동으로 연결되며, 단순한 감상용을 넘어 '참여형 환경'으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삼성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던 '서클투서치(Circle to Search)' 기능도 시연됐다. XR 환경에서 시선으로 사물을 바라본 뒤 손가락으로 원을 그리면, 해당 물체의 브랜드와 제품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는 방식이다. 현실 사물과 검색 결과가 즉시 연결되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 착용감·무게·반응 모두 안정적
착용감은 전체적으로 무난했다. 후면 다이얼로 머리 크기에 맞게 조정할 수 있고, 545g의 무게는 부담스럽지 않았다.
이마와 머리 뒤쪽의 압력이 균등하게 분산돼 안정감이 있었다. 다만 기기를 벗은 직후에는 약간의 어지러움이 느껴졌는데, 이는 XR 기기 특유의 시각 차이에서 비롯된 일반적인 현상으로 보였다.

◆ '판매용 기기'보다 '전략적 출발점'
갤럭시 XR은 완성도 높은 상용 제품이지만, 단순히 판매 실적에 초점을 맞춘 기기라기보다 삼성전자가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를 향해 제시한 첫 번째 방향성으로 볼 수 있다.
임성택 삼성전자 한국총괄 부사장은 "몇 대를 더 파느냐보다 구글 등 업계 선도 파트너와 함께 XR 생태계의 출발점을 만들었다는 데 의미가 크다"며 "성과보다 방향성 제시에 의의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 또 "타사와의 경쟁을 통해 XR 기기가 대중화되고 소비자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다"며 "이를 통해 더 많은 혁신이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kji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