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원 최고경영자(CEO)가 물러난 현대차(005380)그룹 미래항공교통(AAM) 자회사 슈퍼널이 최고기술책임자(CTO)도 교체했다. 경영 공백 속 슈퍼널 항공기 개발 프로젝트는 중단 상태라고 한다. 최근 대량 감원에 이은 임원진 교체에 사업 중단 우려도 나온다.

7일(현지 시간) 테크크런치는 “지난주 신 사장이 사임한 후 데이비드 맥브라이드 CTO도 사임했다”며 “경영진 사임과 인력 감축에 따라 항공기 프로그램이 중단됐다”고 보도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달 28일 “신 사장이 AAM 분야 기술 개발 기반 구축을 완료했고 사업화를 위한 새 리더십이 필요하다”며 신 사장을 고문으로 위촉했다. 신 사장은 2008년 동양인 최초로 미 항공우주국(NASA) 항공연구총괄본부장을 지낸 인물이다. 2019년 현대차그룹에 합류해 AAM 본부장을 맡아왔다. 2021년 슈퍼널 설립 이후에는 현대차그룹 AAM 본부장과 슈퍼널 CEO직을 겸해왔다.
현대차그룹은 슈퍼널 CEO 교체 이유로 ‘사업화’를 꼽았다. 하지만 새 CEO 선임 대신 데이비드 로트블래트 사업개발 담당을 임시 최고운영책임자(COO)로 선임하고 CTO가 회사를 떠나는 등 ‘준비된 인사’가 아니라는 신호가 감지된다. 경영진 교체에 앞서 대규모 인력 감축이 이뤄졌던 점을 감안할 때 AAM 사업화에 차질을 빚고 있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이어진다. 슈퍼널은 올 3월 미 캘리포니아에서 첫 도심항공모빌리티(UAM) 기체 ‘S-A2’ 시험 비행에 성공했으나 직후 워싱턴 D.C 본사를 축소하고 수십명을 해고했다.
UAM 상용화 전망이 어두워지며 현대차그룹이 관련 사업 축소에 나선 게 아니냐는 평가도 나온다. 실제 UAM 스타트업 ‘릴리움’은 올 2월 두번째 파산을 맞았다. SK텔레콤과 도요타 등이 투자한 조비에비에이션은 미 연방항공청(FAA) 인증이 늦어지며 당초 2024년으로 제시했던 상용화 시점을 2026년으로 미뤘다. 슈퍼널은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삼아왔으나 제도·인프라 한계에 2030년 이전 UAM 상용화가 힘들다는 관측이 이어지는 형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