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에서 한밤중 차를 타고 지나칠 때마다 아, 하는 탄성을 지를 때가 있다. 주황빛으로 빛나고 있는 도쿄타워 때문이다. 에펠탑처럼 생긴 철탑에 무슨 호들갑이냐 싶겠지만, 이방인으로선 마천루가 즐비한 도쿄 도심에 우뚝 솟은 저 첨탑이 내뿜는 불빛에서 눈을 떼기 쉽지 않다.
지금도 많은 관광객이 찾는 도쿄타워가 만들어진 건 1958년의 일이다. 일본에서 ‘탑 박사’로 불리는 나이토 다추(内藤多仲)가 설계했다. 철골 구조로 에펠탑보다 높게 세우면서 본래 목적인 방송 전파를 일본 전역에 송출하도록 했는데, 그가 가장 고심에 고심을 거듭한 부분은 내진 설계였다. 지진과 태풍이 많은 일본의 특성을 고려한 것이었는데, 그는 에펠탑의 설계도보다 두 배나 많은 도면을 그렸다고 한다. 이 때문에 도쿄타워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에도 쓰러지지 않고 도쿄를 지키기도 했다.
높이 333m의 도쿄타워는 543일 만에 완공됐다. 일본은 당시 철을 확보하기 어려워 한국 전쟁에서 쓰인 미군의 전차를 일본에 가져와 녹인 뒤 이 탑을 만드는 데 썼다고 한다. 지금껏 일본인들 사이에 회자되는 건 ‘죽음의 캐치볼’이라 불리는 인부들의 작업 방식이다. 철탑이다 보니 구조물 사이사이를 철핀으로 이어붙여야 했다. 인부들은 철 구조물에 올라 불을 피우고, 그 안에 철핀을 넣어 뜨겁게 만들었는데 온도가 800도에 달했다. 인부들은 이 뜨거운 철핀을 ‘캐치볼’ 하듯 최장 10~20m씩 던지고 받으며 탑을 이어붙였다. 안전장치 하나 없던 때라 목숨을 걸어야 했던 셈인데, 도쿄타워에 쓰인 철핀은 16만 개가 넘는다고 한다.
지금과 같이 화려한 조명이 설치된 건 1989년 1월 1일의 일이다. 봄과 가을, 겨울엔 주황으로, 여름엔 은빛으로 바뀐다. 6년 전부터는 LED 조명을 사용해 다채로운 빛을 내는데, 하루 평균 2만1000엔(약 19만원)의 전기료가 든다. 도쿄타워의 불은 매일 자정에 꺼지는데, 이 순간을 연인이 함께 보면 행복해진다는 ‘설’이 있어 커플의 성지가 되기도 했다.
서설이 길었다. 다음 달 15일이면 이 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는 이 타워가 ‘남다른 의미’를 갖는 불을 밝힌다.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회담을 기념하는 것으로 남산 서울타워와 동시 점등한다. 도쿄타워의 점등식 소식이 반가워야 하는데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우리를 절망과 탄식에 빠뜨린 계엄과 탄핵, 대통령 체포 뉴스가 쉼 없이 쏟아지는 탓이다. 우리 정부는 “정상 외교를 제외하곤 외교 분야는 정상적으로 돌아가고 있다”고 하지만 ‘그 정상’ 덕에 한·일관계도 먹구름이 드리워지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