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봉준호 감독의 할리우드 영화 ‘미키 17’이 극장 개봉 한 달 만에 손실을 안은 채 상영을 종료하고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가게 됐다.
6일(현지시간) 미국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의 신작 목록에 따르면 ‘미키 17’은 오는 7일 오후 9시(미 서부시간)에 이 플랫폼에서 공개된다.
미 경제매체 포브스에 따르면 영화는 또 애플TV와 판당고 등 다른 여러 스트리밍 플랫폼에서도 볼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미키 17’은 극장 상영을 마무리하는 수순을 밟게 됐다.
미 영화 흥행 집계사이트 박스오피스 모조에 따르면 지난달 7일 북미 3807개 극장에서 개봉된 이 영화는 지난 4일까지 상영관 수가 점차 줄어들었으며, 약 한 달간 티켓 매출로 북미에서 4468만달러(약 653억원), 북미 외 지역에서 7770만달러(약 1136억원)를 합쳐 총 1억2238만달러(약 1789억원)를 기록했다.
한국에서도 영화관 입장권 통합전산망 기준 6일까지 누적 관객수가 299만8372명, 누적 매출액 약 296억원으로 큰 흥행을 거두지 못했다.
이 영화는 마케팅·홍보 비용을 제외한 순 제작비만 1억1800만달러(약 1700억원)가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 매체 버라이어티는 이 영화의 투자배급사인 워너브러더스가 마케팅에 8000만달러(약 1169억원)를 추가로 지출했다고 전했다.
또 극장이 떼어가는 몫을 고려해 이 영화의 티켓 매출 손익분기점이 약 3억달러(약 4385억원) 수준이라고 전했다.
이 매체는 지난달 하순 ‘미키 17’의 전 세계 티켓 매출이 총 1억4300만달러(약 2090억원)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업계 예상치를 전하면서 이 영화의 손실액이 약 8000만달러(약 1169억원)에 달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근래 대부분의 영화가 극장 개봉만으로 흑자를 내지 못하고 TV·스트리밍 플랫폼 판매를 통해 손실분을 메우곤 하는데, 통상 영화 흥행 성적이 스트리밍 업체와의 계약 금액을 좌우하기 때문에 ‘미키 17’이 끝내 적자를 벗어나기 어려울 수 있다고 버라이어티는 분석했다.
할리우드 스타 로버트 패틴슨이 주연한 ‘미키 17’은 개봉 초기 미 시장조사업체 시네마스코어의 현장관객 대상 조사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등급인 ‘B’ 등급을 받았다.
또 미국의 영화·드라마 평점 사이트 로튼토마토에서는 이날 기준으로 평론가 점수 77점(100% 만점 기준으로 77%), 관객 점수 73점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