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착역 정보 보려다 내릴 곳 놓쳤네” 이제, 이런 일 사라진다

2025-05-06

“도착역 정보는 도대체 언제 나오는 거야?”

지하철을 타본 승객이라면 누구나 한참을 열차정보 안내화면을 봐도 뜨지 않는 도착역명 때문에 답답했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서울교통공사가 이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올해 중으로 2~4호선 신형전동차 634칸에 ‘전동차표시기 도착역 정보표출개선’ 작업을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2·3호선은 오는 6월까지, 4호선은 12월 안에 개선작업을 완료한다. 총 비용은 2억3700만원이 투입된다.

개선작업이 완료되면 전동차에 상단에 달린 객실 안내표시기 내 모든 화면 상단에 도착역이 상시 표출된다. 안내정보 화면이 바뀌더라도 도착역 정보는 계속 확인할 수 있다는 얘기다.

그동안 안내 표시기에는 단일노선도, 혼잡도 안내, 환승정보 안내, 내리는 문 방향, 출입문 열림표시가 순차적으로 표출돼 왔다. 이 과정에서 정작 승객들에게 필요한 도착역 정보가 제때 표출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었다.

공사는 지난해 말까지 2호선과 5·7호선 신형 전동차 총 550칸을 먼저 개선한 바 있다.

이와함께 2~8호선 역사 내 승강장과 대합실에 있는 열차 정보 안내게시기는 행선지와 현 위치 등 열차 도착 정보 위주로 화면구성을 개선한다.

기존에는 행선지 화면에 서울시 홍보사항, 병무청 아내사항 등 총 21개 공지사항이 순차적으로 표출돼 열차 관련 정보를 한 눈에 파악하기가 어려웠다.

이번 시스템 개량으로 기존의 공지사항과 혼잡도, 긴급알림 등 정보는 광고화면으로 이동하고, 행선지 화면을 최대한 고정돼 승객의 시인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개량작업은 오는 6월까지 2호선 50개역, 12월까지 3·4호선 60개역에서 진행된다. 또 오는 2027년까지 5·8호선 74개역, 2028년까지 6·7호선 81개역을 대상으로 차례대로 개선작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앞서 1호선 10개역은 지난해 초 개량을 마쳤다.

공사 측은 “표기방식 개선으로 승객들의 승하차 불편 민원을 해소하고, 교통편의와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