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애인의 자살 사망률이 전체 인구보다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신장애인과 노년층에서 자살 위험이 집중되면서 구조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한국장애인개발원이 발표한 ‘2025 장애통계연보’에 따르면 2023년 장애인의 자살 조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56.7명으로 전년(53.1명) 대비 3.6명 증가했다. 이는 같은 해 전체 인구 자살률 27.3명의 약 2.1배 수준이다.
성별로는 남성이 73.2명으로 여성(33.9명)보다 월등히 높았다. 연령별 조사망률은 80세 이상이 71.3명으로 최상위였으며, 40대(62.3명), 30대(37.9명), 20대(25.3명)가 뒤를 이었다. 장애 유형별로는 정신장애(144.2명)와 뇌전증 장애(142.3명), 호흡기 장애(136.2명)가 높은 수치를 보였다.
지역별 편차도 컸다. 울산(74.1명)과 충남(73.8명)은 조사망률이 다른 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장애인의 자살 위험이 꾸준히 확인되고 있음에도 국가의 자살 정책이 여전히 노인·청소년 중심으로 설계된 점을 문제로 지적한다.
권혜영 목원대 교수 연구팀은 보건사회연구 최신 호에서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자살 생각 가능성이 1.746배 높다”며 “그러나 한국의 자살 예방 정책은 장애인의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울감,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 수준이 양 집단 공통 요인으로 작용했지만, 장애인의 경우 결혼 여부, 취업, 음주가 추가로 자살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취업은 사회적 고립을 줄이고 심리적 안정에 기여한다”며 “장애인 특성에 맞춘 맞춤형 정책 개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09 또는 SNS상담 마들랜(www.129.go.kr/etc/madlan)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경기신문 = 방승민 수습기자 ]





![[동십자각] 30년 기다린 비대면진료, 환자가 답이다](https://newsimg.sedaily.com/2025/10/26/2GZBV2D6UW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