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쿠지부, MBO 급여체계 개선 사측에 요구할 전망
쿠쿠 "수수료 최근 개편...노측 의견 아쉬워" 평행선
업계 관계자 "쿠쿠, 협상 경험 無...진통 예상" 우려
[서울=뉴스핌] 이석훈 기자 = 쿠쿠홈시스 창사 이래 처음으로 노동조합이 설립됐다. 특히 렌탈업계 전체적으로 보더라도 코웨이에 이은 두번째 설립이란 점에서 기업 방향성에 이목이 쏠린다.
노측은 MBO(Management By Objectives, 목표에 의한 관리) 급여체계 수정을 주요 현안으로 다룰 예정인데, 이에 대한 사측 반응은 회의적이어서 노사갈등이 장기전으로 흘러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 불안정 고용·실적 압박 원흉...노조, MBO 급여체계 개선 촉구
16일 업계에 따르면 민주노총서비스연맹 전국가전통신서비스노동조합 쿠쿠지부는 MBO 급여체계 개선을 쿠쿠 측에 요구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MBO 급여체계란 개인의 성과 목표 달성 수준에 따라 임금 인상 또는 보너스 지급 등의 보상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렌탈업계는 방문점검직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해당 급여체계를 적용한다.
그런데 MBO 급여체계는 보통 기본급 비중이 낮고, 성과급 비중이 높게 설계된 탓에 소득 불안정성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잦다. 더구나 동료 간 경쟁 심화, 지속적 실적 압박 등 다양한 심리적 문제를 야기한다.
임창근 노동법률사무소 필립 대표 노무사는 "MBO 급여체계는 렌탈업계 등 육체노동이 주가 되는 업계에서 성과를 객관적으로 산정하기 위해 도입한다"며 "하지만 노동자들끼리 서로 경쟁하게 만드는 구조와 고정급이 낮다는 점 탓에 여러 부작용을 초래한다"고 설명했다.
쿠쿠 노조 관계자는 "MBO 급여체계 탓에 여러 노동자들이 과도한 실적 압박을 받았으며, 생계를 유지하는 데도 어려움을 겪었다"며 "앞으로 논의해야할 의제들이 많지만, 우선적으로 급여체계에 대해 다룰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고정급 수준이나 수수료 중 하나라도 인상해서 노동환경을 개선해 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 "동종업계 대비 저조" vs "수수료 항상 개편"...평행선 달리는 勞-社
쿠쿠 측은 현재 MBO 급여체계에 대해 별다른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현재도 충분히 외부 환경을 고려한 적절한 급여 산정이 이뤄지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쿠쿠 관계자는 "수수료 개편은 항상 하고 있다"며 "이후에도 전체 인원이나, 실적 증가에 비해서 수수료 지급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 결과 수수료가 과거에 비해 더 많이 지급되고 있다"며 "급여 체계에 대해 문제 삼는 노조 측 입장이 다소 아쉽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노측은 수차례 수수료 개편에도 불구하고 동종업계 대비 낮다고 반박했다. 쿠쿠 노조 측은 "수수료 수준이 여전히 업계 최저 수준"이라며 "쿠쿠의 급여체계는 반드시 개선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처럼 노사 양측이 급여체계를 두고 평행선을 달리는 가운데, 자칫 갈등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임 노무사는 "고정급의 비중을 늘리는 게 노조의 목표지만, 회사는 노동자들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성과제 중심의 급여체계를 선호한다"며 "쿠쿠의 사례처럼 양측의 요구가 극명히 엇갈리면, 노사 갈등이 장기전으로 흘러가게 된다"고 설명했다.
렌탈업계 관계자도 "단순히 사측에서 수수료를 개편한다고 모든 노동자들의 입장을 만족시킬 수 없다"며 "더구나 쿠쿠가 노조와 협상을 시도한 경험도 전무하기 때문에 의견 교환 과정에서의 진통이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한편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가전통신서비스노동조합 쿠쿠지부는 지난 6일 설립총회를 열었으며, 지부 임원 선출 및 규정 제정 절차를 진행했다.
쿠쿠지부는 ▲과도한 실적 압박 개선 ▲불안정한 고용구조 개선 ▲노동조합 활동 보장 ▲업계 최저 수준의 급여 및 수수료 인상 ▲복리후생 개선 ▲불합리한 영업 구조 개선 등을 요구하고 있다. 또 올해 안으로 단체교섭도 개시한다는 복안이다.
stpoemseo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