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 산하 국립국제교육원이 운영하는 정부 초청 외국인 장학사업(GKS, Global Korea Scholarship) 졸업생 10명 가운데 8명은 소재 파악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각국의 우수 인재를 초청해 교육을 돕고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겠다는 취지로 매년 GKS 사업에 1000억원 상당의 예산을 투자하지만 졸업생 관리 부실과 수도권 편중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5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준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제교육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실시된 'GKS 동문 정보 현행화 설문조사' 결과 전체 졸업생(1만 269명)의 84.2%(8649명)는 연락이 닿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 가운데 조사에 응답한 인원은 1620명(15.8%)에 불과했다.
GKS 사업은 전 세계 우수 인재들에게 등록금 전액과 생활비, 항공료 등을 지원해 한국에서 학문적 성취와 문화 교류를 장려하는 사업이다.
정부는 최근 4년간(2022년~2025년) GKS 사업에 총 4191억 4700만원을 투입했다. 2022년 810억 4700만원이던 GKS 예산은 ▲2023년 932억 7800만원 ▲2024년 1147억 2600만원 ▲2025년 1300억 9600만원 등 매년 꾸준히 증가했다.
이처럼 4년간 GKS에 막대한 예산이 투입됐지만 졸업생 관리 부실 문제는 오히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국정감사 당시에는 ‘소재 파악 불가’ 상태인 GKS 장기 학위과정 수료·졸업생 비중이 70.3%(1만 4111명 중 6139명)이었는데 해당 비율이 14%포인트 가까이 오른 것이다.
한편 수도권 편중 문제도 심각한 상황이다. 2022년부터 올해까지 GKS 배정 인원 7042명 중 60.2%(4240명·38개교)는 수도권 대학 소속이었고. 반면 비수도권 대학은 총 72개교로 학교 수는 2배 가까이 되지만 소속 학생 수는 2802명(39.8%)으로 반토막 수준이었다. 지방거점국립대 9곳을 모두 합쳐도 장학생 배정 인원은 1619명(23%) 수준에 불과했다.
김준혁 의원은 "GKS는 한국형 풀브라이트로 불리는 대표적인 교육 외교 사업이지만 성과는 불투명하고 관리 체계는 느슨하며 수도권 편중은 구조화돼 있다"며 "성과지표 개선, 사후 관리 시스템 전산화, 지역균형형 배정 기준 마련을 통해 진정한 GKS로 거듭나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