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사회연구원, 1만4천여명 대상 '2024년도 가족과 출산' 조사

최근 3년간 출생아 숫자는 줄었지만, 결혼할 생각이 있다는 미혼자 비율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은 출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실제 혼인이 늘면 향후 저출생 해소에 조금이나마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 출생아 수 1.03명→0.85명…계획 자녀 수도 1.93명→1.75명 '악화'
11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19∼49세 성인(미혼 포함)과 그 배우자 1만4천372명을 상대로 조사한 '2024년도 가족과 출산' 조사 결과에 따르면 여성의 평균 출생아 수는 0.85명으로, 3년 전(1.03명)보다 0.18명 감소했다.
이번 조사에서 사실혼을 포함해 결혼 경험이 있는 19∼49세 여성이 결혼 당시 계획한 평균 자녀 수는 1.75명이었다. 2021년 조사 당시 1.93명보다 줄어든 것이다.
지난해 조사에서 구체적인 계획 자녀 수는 2명이 63.6%로 가장 높았다. 이어 1명(22.3%), 3명(6.7%), 0명(6.1%), 4명 이상(1.2%) 순이었다.
19∼49세 남녀를 배우자 여부 기준으로 나눠 물은 결과, 배우자가 있는 이들은 18.0%만 출산 계획이 있다고 답했고, 이들이 계획한 자녀 수의 평균은 1.25명이었다.
반면 배우자가 없는 이들은 출산 계획이 있다는 응답률이 63.2%에 달했다. 계획한 자녀 수는 1.54명으로 배우자가 있는 이들보다 많았다.
◇ "결혼할 생각 있다" 비혼자들, 3년 전보다 늘었다
3년간 출생아 수는 줄었지만, 결혼 의향을 가진 이들의 비율은 상승했다.
지난해 조사에서 결혼 의향이 있다는 응답률은 62.2%로, 직전인 2021년 조사 당시(50.8%)보다 11.4%포인트(p) 올랐다.
결혼을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는 응답률은 2021년 23.9%에서 지난해 19.4%로 4.5%p 내렸다.
과거에도, 현재에도 결혼 생각이 없다는 비율도 같은 기간 11.9%에서 6.7%로 줄었다.
다만 연구진은 "코로나19 때문에 결혼 의향이 바닥을 찍은 후 이전 상태로 복귀한 결과인지, 결혼 의향이 증가 추세로 전환된 것인지 추후 심층 분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결혼 생각이 없다는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현재 삶에 만족하기 때문'(58.4%)이라는 답을 가장 많이 택했다. '돈이 없어서'(11.4%), '적합한 배우자를 만나지 못해서'(10.2%)라는 응답이 그 뒤를 이었다.
여성의 경우 현재 삶에 만족해서 결혼할 생각이 없다는 응답이 63.4%로, 남성보다 9.5%p 높았다.
남성은 돈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17.0%로, 여성보다 10.9%p 높았다.
앞으로 결혼할 생각이 있다는 이들은 이미 결혼한 사람들보다 결혼 목표로 '경제적 안정'을 더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기혼자들이 결혼할 당시 중요하게 생각한 가치는 사랑(81.9%), 동반자 관계(81.8%), 경제적 안정(53.2%), 가족·사회의 기대 충족(45.1%) 순이었다.
그러나 결혼 의향이 있는 비혼자들은 결혼 시 고려할 가치로 동반자 관계(82.4%), 사랑(78.5%), 경제적 안정(69.8%), 가족·사회의 기대 충족(44.2%) 순으로 선택했다. 현재 혼인 상태인 이들보다 사랑은 더 적게, 경제적 안정은 더 많이 고려하는 것이다.
연구진은 "근소한 차이지만, 사랑의 실현과 완성보다 동반자 관계 구축의 중요성을 더 높이 평가하는 점, 경제적 안정이라는 실리적 측면을 강조한 점은 미래의 결혼이 현재보다 더 합리적이고, 더 선택적으로 이뤄질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