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집에는 귀신 없습니다.”
고독사와 자살이 늘고 있는 일본에서 ‘흉가’를 전문으로 중개하는 부동산 업체가 등장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최근 일본 동양경제 보도를 인용해 일본의 부동산 중개업체 ‘카치모드(Kachimode)’를 소개했다.
카치모드는 지난 2022년 일본 부동산 중개인 코다마 카즈토시가 설립했다. 이 회사는 자살, 고독사, 살인 등으로 사람이 숨진 집, 이른바 ‘사고물건’을 전문으로 다룬다.
일본에서는 이런 주택을 ‘유령집’으로 부르며 그 안에 머문 원혼이 집에 남아 있다는 믿음이 여전히 강하다. 이 때문에 집값이나 임대료가 10~20% 낮게 책정되는 경우가 많다.
코다마는 과거 사고물건을 중개하던 경험을 살려 ‘유령 없는 집’을 과학적으로 증명하는 틈새시장을 개척했다. 그는 매물마다 사전 조사를 실시하고, 초자연적 현상이 감지되지 않았다는 인증서를 발급한다.
조사는 단순한 시세 분석을 넘어선다. 직원들은 며칠 동안 현장에 머물며 카메라·녹음기·전자기장 측정기·열화상 카메라 등을 동원한다. 실내 온도·습도·소음·기압·기류 등도 세밀하게 모니터링하고 별다른 이상이 없을 경우 “초자연적 현상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인증서를 발급한다.
카치모드는 상속 지원, 유품 정리, 특수청소 같은 유족 지원 서비스도 함께 제공한다.
카치모드 웹사이트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으로 누적 196건의 부동산을 조사했다. 조사 비용은 2023년까진 5만엔(한화 약 47만 원)이었지만 최근에는 하루 8만~15만엔(한화 약 75만~140만 원) 수준으로 올랐다.
대부분은 인증서가 발급됐지만 몇몇 사례는 특이했다. 지바현의 한 주택에서는 한 어머니가 사망한 후 그 아들마저 홀로 숨진 채 발견됐다. 이 곳에서 조사 중이던 코다마의 노트북이 갑자기 꺼지고 다시 켜지지 않는 현상이 발생했으며 그는 “단순한 기기 결함일 가능성이 높지만 인증은 보류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집에서는 바닥 아래에서 우물이 발견됐다. 현장에 있던 신사 관계자는 “그 우물엔 손대지 않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해당 집은 이전에도 ‘병이 잦았다’, ‘이혼했다’, ‘자살자가 나왔다’는 소문이 이어졌고 결국 인증서가 발급되지 않은 채 공실로 남았다.
코다마는 때로 유족을 위해 조사에 나서기도 한다. 한 아버지는 딸이 세상을 떠난 뒤 “딸이 방에 나타나면 알려달라”고 요청했다. 조사는 이상 없이 끝났고 그는 감사 인사를 전했다.
코다마는 “사망 원인을 파악하고 수리와 청소 그리고 투명한 조사를 병행하면 유족의 심리적 그림자 치유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세계 최초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일본은 고독사 문제가 심각하다. 일본 정부는 사후 8일 이상 지난 뒤 발견된 사망을 고독사로 분류한다.
올해 상반기 기준 일본의 고독사 건수는 1만 1669명, 전년 대비 11.8% 증가했다. 자택에서 홀로 숨진 인원은 4만 913명으로 1년 새 3686명 늘었다. 2024년 한 해 동안 2만 1856명이 고독사했으며 이 중 남성이 79.4%, 60세 이상이 82.1%를 차지했다. 사망 후 1년이 지나 발견된 경우도 253건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