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료부터 시작해서 생산·임상까지 수직계열화된 사업모델을 적극 활용할 것입니다.”
'아이레시피'는 화장품 원료 제조사인 선진뷰티사이언스가 지난 2021년 론칭한 화장품 브랜드로, 클린뷰티(유해한 원료를 줄인 화장품) 2.0을 지향하고 있다. 신제품 개발 및 상품화 과정에서는 선진뷰티사이언스의 소재·처방개발 연구소, 임상센터 등과 유기적으로 협업하고 있다. 지난해 올리브영, 무신사뷰티, 아마존 등 플랫폼에 입점했다.
현진숙 선진뷰티사이언스 이사(아이레시피 브랜드 총괄)는 “원료나 제조업자설계생산(ODM) 사업부에서 업력이 있는 만큼 원료와 소재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 신소재 개발 시 완제품으로 시장에 빠르게 최적화된 상품을 선보일 수 있다”며 “현재는 선진뷰티사이언스의 신소재를 플래그십 제품으로 만드는 선봉장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브랜드 강점으로 침투율이 높은 소재를 꼽았다. 현진숙 이사는 “아이레시피 제품은 피부에 유효성분의 침투율을 높이는 데 주목하고 있다”며 “피부구조와 유사한 복합물질을 만들어 피부친화도를 높이거나, 모공보다 작은 리포좀 기술과 효소처리로 가수분해해서 분자량을 작게 만드는 등의 방식을 통해 피부 자극도를 줄이며 피부 흡수율을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사업모델에 대한 자신감도 드러냈다. 그는 “최근 K뷰티가 인디 브랜드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 트렌드를 선도하고는 있지만, 특정 ODM사로 집중되고 제품 차별화보다는 소셜미디어 마케팅 중심으로만 치열하게 경쟁하는 비차별적 콘셉트로 한계가 보일 때가 있다”며 “아이레시피는 원료 제조부터 소재 개발, 처방, 임상연구까지 수직적으로 통합된 프로세스로 브랜드 철학을 지켜가며 오래 쓸 수 있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신제품을 개발하면서부터 브랜드 사업부에서는 직접 연구 논문까지 검토해 성분 간의 시너지 메커니즘을 효과적으로 소구할 수 있는 콘셉트로 마케팅에 반영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아이레시피는 마케팅 투자를 확대하며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현진숙 이사는 “올해는 보다 공격적인 매출 확대 전략을 추진하고자 브랜드 앰배서더와 캐릭터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마케팅을 준비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와 신뢰도를 동시에 향상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략적 거점 시장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 확장에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아이레시피는 중국 시장은 인플루언서의 라이브 커머스 기반의 역 직구몰인 도우인을 통해 진출했고, 미국에도 현지 법인이 설립된 상황이다. 올해는 일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현진숙 이사는 “올해 가장 신경 쓰는 시장은 일본이고, 곧 출시되는 신제품도 일본향으로 개발했다”며 “국내외 뷰티 시장에서 차세대 K뷰티 대표 브랜드로 자리매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성전 기자 castlek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