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구대에서 밥상 차려먹던 기업이 시총 1위?···엔비디아 이야기

2025-10-14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요가 2028년 단기 정점을 찍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노근창 현대차증권 리서치센터장은 14일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애널리스트 간담회 ‘AI 반도체 시장 전망’에서 “현재까지 인프라 수요인 AI 서버가 수요를 견인하고 있다”며 “엔비디아의 경우 2028년에는 1조 달러(약 1430조원)의 데이터센터 Capex(설비 투자)를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수요에 따라 메모리 반도체 시장 규모는 올해 2010억 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사상 최대 규모다.

한편 AI 대장주인 엔비디아는 내년 순이익 전망치 기준 주가수익비율(PER)이 29배다. 1990년대 닷컴 버블 때 주가가 추락한 시스코 시스템즈 등의 PER은 100배 수준으로 엔비디아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유투브 채널 윤지원의 머니터링은 엔비디아로 AI 제국을 세운 젠슨 황에 대해 다뤘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