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고령사회 진입과 함께 노년기 대표 질환인 심부전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심부전은 요즘처럼 날씨가 추워지는 시기에 악화할 위험이 높아 노년층의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24일 대한심부전학회에서 발간한 '심부전 팩트시트 2025'에 따르면 국내 심부전 유병률은 2002년 0.77%에서 2023년 3.41%로 약 4.4배 증가했다.
연령이 높을수록 유병률이 높아져 50대 2.5%, 60대 6.3%, 70대 12.9%, 80세 이상 26.5%에 달했다. 80세 이상일 경우 4명 중 1명은 심부전을 앓는 셈이다.
심부전은 심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해 온몸에 혈액을 충분히 보내지 못하는 상태를 칭한다.
통상 심장은 하루 평균 10만 번 뛰면서 혈액을 온몸에 공급해 산소와 영양분을 전달하고 노폐물을 운반하는데, 관상동맥질환이나 고혈압, 부정맥 등 여러 원인이 누적되면 심장의 수축력이 감소하고 정상적인 심장 구조가 손상돼 심부전에 이를 수 있다.
특히 심부전은 기온이 떨어지는 겨울철에 더 나빠진다. 찬 공기에 노출되면 혈관이 수축하면서 혈압이 오르고,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심장은 더 강하게 뛴다. 이때 체내 에너지 소비가 많아지고 심장에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심장 기능이 약한 환자에게는 위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겨울철에 유행하는 인플루엔자 등 호흡기 감염병도 심부전 악화를 촉진하는 요인이 된다.
심부전은 약물 치료와 생활 습관 개선 등을 병행하며 지속해서 관리하는 게 중요하지만, 초기 증상이 매우 다양한 편이라 진단하기 어려운 게 문제다.
심부전 초기에는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차거나 누우면 호흡이 어려워지고, 다리나 발이 붓거나 체중이 갑자기 늘기도 한다. 피로감, 식욕 감소, 복부 팽만, 밤중 잦은 배뇨, 기억력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노년층은 이러한 증상을 단순한 노화나 피로로 오인하고 적기에 병원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황희정 강동경희대병원 심장혈관내과 교수는 "이런 가벼운 증상이 심장 기능 저하를 알리는 경고 신호일 수 있다"며 "흉부 X선과 심장초음파 검사를 통해 빠르게 진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심부전은 완치되는 질환이 아니므로 관리가 필수적이다. 특히 겨울에는 외출 시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지 않도록 방한을 철저히 하고, 실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
짠 음식과 국물 섭취를 줄이고 수분 섭취를 조절하면서 체중 변화도 꾸준히 확인하는 게 좋다. 또한 호흡기 감염병 예방을 위해 인플루엔자와 폐렴 백신을 접종하는 게 좋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울산종합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건강상식] 일조량 줄고 건조해지는 겨울, 건선 악화 위험 높아…생활 관리 필요](https://www.kgnews.co.kr/data/photos/20251148/art_1763942531093_bb03a3.png)






![[현장] 대학병원도 '마스크 물결'…독감 환자 작년 이맘때 보다 14배↑](https://img.newspim.com/news/2025/11/24/2511241140549860_w.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