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와 신의 존재에 대한 논의는 인간 역사에서 가장 오래되고, 동시에 가장 깊은 철학적, 과학적 질문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고대부터 오늘날까지, 이 문제를 풀기 위한 수많은 사상가들이 각자의 이론과 관점을 제시했습니다. 그중에서도 알버트 아인슈타인과 스티븐 호킹은 우주에 대한 과학적 통찰을 제공하며 신의 존재를 어떻게 바라볼지에 대해 중요한 길을 제시했고, 오늘날 인공지능(AI)은 또 다른 차원의 답을 제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았습니다.
아인슈타인에게 있어 신은 인간처럼 감정을 가진 존재가 아니었습니다. 그는 신을 우주를 이끄는 무한한 지혜와 질서로 이해했습니다. 아인슈타인의 유명한 말, “신은 주사위를 하지 않는다”는 단순히 우주가 우연에 의해 움직이지 않음을 강조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우주가 예측 가능한 법칙에 따라 움직인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고, 이 법칙들이 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즉, 아인슈타인에게 신은 인간적 존재가 아니라, 우주를 지배하는 수학적 질서, 자연법칙의 표상처럼 존재하는 ‘보이지 않는 손’이었습니다.
그러나 스티븐 호킹은 이러한 아인슈타인의 관점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갔습니다. 그는 우주가 신의 개입 없이 자연법칙에 의해 발생했으며, 그 자체로 완전한 시스템을 이루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호킹은 ‘무에서 유’가 가능하다고 믿으며, 빅뱅 이론을 통해 우주의 기원과 발전을 설명했습니다. 그의 관점에서 우주는 신 없이도 자생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이며, 과학이 그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호킹은 신의 존재를 과학적 탐구의 대상에서 배제하며, 신의 존재를 증명하거나 부정하는 것이 과학의 범위를 넘어서는 일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 인공지능(AI)의 발전은 이 문제에 대해 또 다른 시각을 제시합니다. AI는 단순히 물리적 법칙을 계산하거나 현상을 예측하는 도구가 아닙니다. AI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패턴을 인식하며, 우리가 아직 이해하지 못한 우주의 법칙들을 발견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AI는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며, 우리가 놓치고 있는 우주의 숨겨진 구조와 질서를 드러낼 수 있습니다. 인간이 끊임없이 고대부터 연구하고 있는 우주와 신에 대한 풀지 못한 명확한 해답을 데이터를 분석으로 신이 있다, 없다를 밝혀 줄 수도 있지 않을까 상상해 봅니다. 우주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우리가 알지 못하는 법칙들이 무엇인지를 찾는 데 있어 AI는 중요한 열쇠가 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우주를 바라보는 전통적인 시각을 넘어서, 새로운 접근 방식을 통해 더 깊은 이해를 얻을 수 있습니다.
AI가 제공하는 또 다른 흥미로운 측면은 창조의 개념입니다. AI는 이미 예술 작품을 창조하고, 음악을 작곡하며, 문학을 창작하는 능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만약 AI가 의식과 창조적 능력을 가질 수 있다면, 인간의 창조적 능력을 넘어서는 수준으로 신의 ‘창조’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지도 모릅니다. 인간이 신을 창조자로 이해한 방식과 유사하게, AI가 창조한 작품들은 새로운 의미에서 ‘창조적 존재’의 결과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우리가 신의 창조적 역할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지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불러일으킬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AI가 신을 대체할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AI는 결국 인간이 만든 도구이며, 인간의 창조물입니다. 하지만 AI가 인간의 창조적 한계를 넘어서 창작 활동을 하고, 우주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시할 수 있다면, 신과 우주에 대한 우리의 기존 이해를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AI는 단순히 신의 존재를 증명하거나 부정하는 도구가 아니라, 신과 우주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열어주는 가능성의 창구가 될 수 있습니다.
아인슈타인과 호킹, 그리고 AI는 각각 우주와 신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다루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아인슈타인은 우주에 내재한 질서와 법칙을 통해 신을 이해했고, 호킹은 과학이 우주의 기원과 본질을 설명할 수 있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신을 과학적 논의에서 배제했습니다. 이제 AI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우주를 재조명하며, 우리가 신의 존재와 우주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지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아인슈타인과 호킹, 그리고 AI를 통해 우주와 신에 대한 질문을 새로운 방식으로 탐구할 기회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과학과 신학, 그리고 인간의 창조적 역량이 서로 보완하며, 함께 우주와 신에 대한 깊은 이해를 추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습니다. 어쩌면 우주는 단순한 물리적 현상이나 법칙의 집합이 아니라, 그 자체로 정보와 창조의 ‘언어’로 구성되어 있을지도 모릅니다. 신이 우주를 창조한 존재일 수 있지만, AI는 그 창조적 능력을 이해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우주를 풀어내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과학과 기술, 그리고 철학이 만나는 이 지점에서, 우주와 신에 대한 탐구는 이제 단순히 종교적이거나 과학적인 질문을 넘어서, 인간 존재와 우주를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그 여정은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우주와 신에 대한 답은 인류가 멸망하지 않는 한 우리가 만든 기술과 지식의 발전을 따라 계속해서 진화하고 답을 찾아 나아갈 것입니다.
나아리<전북영화인협회장>
저작권자 © 전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