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삼성전자, 5대 은행에 '12.5조 마통' 열었다

2025-05-28

미국 정부의 고율 관세정책과 글로벌 업황 부진에 위기 경영 체제를 가동 중인 삼성전자가 국내 주요 시중은행으로부터 약 12조 5000억 원 규모의 차입 약정을 맺은 것으로 확인됐다. 시장에서는 삼성전자가 비용 절감 차원에서 시중은행과 크레디트라인(신용 한도)을 열게 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28일 서울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삼성전자는 최근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과 총 12조 5000억 원 규모의 원화 포괄 약정을 새로 체결했다. 원화 포괄 약정은 일정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자금을 가져다 쓸 수 있는 일종의 ‘마이너스 통장’이다.

은행별로는 하나은행이 3조 3000억 원, NH농협은행이 1조 원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나머지 은행들은 각각 2조~3조 원 안팎으로 전해졌다. 대출금리는 연 3~4%대인 것으로 파악됐다.

삼성전자는 또 약 2조 원 규모의 반도체 저리 자금 대출을 지난달 한국산업은행에 신청해 승인을 받았다. 지난해 처음으로 도입된 ‘반도체 설비투자 특별 지원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이다. 대출금리는 2% 초반이다. 그동안 삼성전자는 해당 자금을 쓰지 않았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5대 은행과 대규모 거래를 튼 것과 관련해 주력 사업인 반도체와 가전의 시장 불안이 확대되면서 비용 절감 요인이 커진 것 아니냐고 보고 있다. 은행권에서는 삼성전자가 매출 채권을 활용해 자금을 조달하는 것보다 조건이 유리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다 보니 다양한 측면에서 재무 전략을 고민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자금 조달 비용을 낮추기 위해 원화 포괄 약정과 같은 수단을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