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 면제' 중국行 여객 24% 폭증…5월 황금연휴 하루 21만명 인천공항 방문

2025-04-16

지난해 11월부터 중국이 우리나라 국민을 대상으로 비자 면제 정책을 시행하면서 1분기 인천국제공항 발 중국행 여객이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했다. 다음달 3일부터 시작되는 황금연휴에는 하루 평균 21만 명이 인천공항을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16일 인천공항 1터미널에서 미디어브리핑을 열고 이같은 1분기 경영 성과 및 황금연휴 혼잡완화 대책을 발표했다. 인천공항은 지난 1분기 총 10만 5817회 여객기를 운행하며 1860만 6590명의 여객을 실어 나른 것으로 파악됐다. 전년 동기 대비 여객기 운항은 5.7%, 여객 운송 실적은 7.8% 각각 증가했다.

단거리 여행이 전반적인 수송 실적 확대를 견인했다. 원-달러 환율과 유류비 상승 등 글로벌 이슈 여파로 단거리 여행에 대한 선호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지난해 11월 8일부터 한국인에 대해 15일간 무비자 입국을 허용해준 중국으로의 출국이 대폭 늘어났다. 중국 여행객은 266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1% 늘어나 전체 여객의 14.3%를 차지했다. 이는 모든 노선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이다.

대표적인 단거리 노선인 동남아 노선은 567만 명의 여객을 수송해 가장 큰 비중인 30.5%를 기록했다. 일본행 여객 또한 481만 명으로 전체의 25.9%를 차지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10.4% 늘어났다. 미주 여객은 158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8% 증가했다. 반면 호주 등 대양주 행 여객은 68만 명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12.9% 줄어들었다.

항공사별로는 대형 항공사의 실적이 11.3% 성장한 반면 저비용 항공사는 2.6% 상승에 그쳤다. 이는 지난해 12월 29일 제주항공 무안공항 참사 여파로 저비용 항공사 중 가장 많은 여객 비중을 차지하던 제주항공의 운항편과 여객 수가 각각 7%, 15.5% 떨어진 영향으로 파악됐다.

인천공항은 올해 국제선 여객이 적게는 7127만 명, 많게는 7664만 명으로 예상하고 있다. 내국인 여행 증가와 해외 공항의 노선별 실적 회복은 긍정적 요인이지만 트럼프 2기 정부 발 관세리스크와 중국의 경제 불확실성이 부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인천공항의 매출은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했지만 그만큼 부채 비율도 늘어났다. 올 1분기 인천공항의 매출은 6432억 원으로 2019년 1분기 매출액인 6585억 원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다만 영업이익은 1991억 원, 당기순이익은 1662억 원으로 2019년 1분기 대비 각각 56.8%, 66.3% 수준에 그쳤다. 또한 2019년 1분기 31.1%였던 자산 대비 부채 비율 역시 1분기 102.1%로 폭증했다. 공항공사 관계자는 “2019년 동기 대비 위탁용역비와 감가상각비가 늘어나는 등 영업비용이 대폭 증가했다”며 “부채비율은 4단계 건설사업 등 투자 확대로 지속 상승해왔지만 순차입 감소로 점진적으로 하락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근로자의 날과 부처님 오신 날,어린이날 대체공휴일 등이 몰려 황금 연휴가 만들어지는 이달 30일부터 내달 6일까지 하루 평균 21만 1000명의 여행객이 인천공항을 방문할 예정이다. 가장 많은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날은 5월 3일 토요일로 1터미널 14만 5819만 명, 2터미널 7만 2193만 명 등 총 21만 8000여 명이 몰릴 전망이다.

인천공항은 양 터미널의 2번 출국장 오픈 시간을 기존 오전 6시에서 오전 5시로 한 시간 앞당겨 혼잡을 완화하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160명의 단기 인력을 투입하는 동시에 검색 장비 가동률을 100% 수준을 유지할 방침이다. 주차 수요가 집중될 것을 대비해 공항 청사 부근 4350면 규모의 무료 임시주차장을 운영하고 임시순환버스를 최대 3대 투입한다. 출국 시간을 아낄 수 있는 스마트패스에 대한 홍보와 승객들이 스스로 짐을 부칠 수 있는 셀프 백드랍 운영지역도 확대할 방침이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