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집트를 공식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카이로대 연설에서 “평화에 대한 열망은 1919년 운명과 같이 서로를 마주한다”며 한국과 이집트의 관계를 부각시켰다.
이 대통령은 이날 카이로대 연설을 통해 이른바 ‘샤인(SHINE) 이니셔티브’로 안정(S)과 조화(H), 혁신(I), 네트워크(N), 교육(E)을 추진한다며 중동구상을 선언했다. 이를 통해 양국은 한반도와 중동 평화 중재자로서 협력을 높여 한반도 비핵화 지지를 중동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경제적 협력에서도 이집트가 아프리카·중동·유럽을 잇는 핵심 허브라는 점에서 ‘한·이집트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1919년을 부각시키며 양국이 겪은 분쟁과 평화의 역사적 유사성에 주목하며 '공동 번영'을 이뤄내자고 제안했다. 이 대통령은 "이집트와 한국은 8000㎞ 이상 떨어진 먼 나라이지만 평화에 대한 오랜 열망의 역사 앞에서 양국은 하나로 연결돼 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국인과 이집트인은 지정학적 운명에 순응하며 주어진 평화를 누리는 데 만족하지 않았다"며 "따로 또 같이 써내려 가던 평화에 대한 열망은 1919년 운명과 같이 서로를 마주한다"고 말했다. 1차 세계대전의 전후 처리 과정에서 1919년 3월 한국에서는 3·1 운동이, 이집트에서는 영국의 식민 통치에 저항한 이집트 혁명이 동시에 발발한 것을 언급한 것이다.
이처럼 한국과 이집트 모두 대륙과 해양이 만나며 강대국 간 이해관계가 교차하는 곳에 있어 분쟁이 끊이지 않았고, 그 때문에 오랜 기간 평화를 열망한 공통점이 있다고 이 대통령은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한국인은 자주독립의 의지로 우렁찬 평화의 함성으로 일제의 무도한 총칼을 이겨냈다. 이집트에서도 독립의 열망을 세계만방에 알리며 분연히 일어난 이 땅의 주인들이 있었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1943년 일제강점 하에 있던 한국의 독립을 명문화한 이른바 '카이로 선언'이 이집트에서 도출됐다는 점도 강조했다.

한국과 이집트의 역사와 지정학적 유사성을 강조한 이 대통령은 "지도자의 의지와 결단도 평화를 지켜내는 핵심 요소"라며 압둘팟타흐 시시ㅍ대통령이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휴전을 이끈 '가자 평화선언'에 중재국으로서 주도적으로 참여한 것을 높이 평가했다. 이 대통령은 "알시시 대통령님은 2년간 가자지구 사태 속에서 대화를 포기하지 않으며 중재의 끈을 놓지 않았다"며 "지칠 줄 몰랐던 인내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님과 함께 주재한 샤름엘셰이크 평화 회담의 소중한 결실로 피어났다"고 말했다. 이어 "이재명 정부도 남북 적대와 대결의 시대를 끝내고 평화공존과 공동 성장의 시대를 열어가고자 한다"며 단계적 한반도 비핵화 구상을 재차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아랍 국가 최초로 1978년 이스라엘을 국가로 인정하고 평화협정을 맺었던 안와르 사다트 전 이집트 대통령의 사례를 "두려움 없이 미래 세대를 선택한 결단"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사다트 전 대통령은 이 같은 공로로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길도 다르지 않았다. 김대중 대통령님을 비롯한 전임 대통령들은 금단의 선을 넘으며 한반도 평화의 새 길을 개척해 냈다"며 "양국 역사에 도도히 흐르는 문명과 평화의 빛은 양국의 공동번영을 이뤄낼 중요한 자양분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AI MY 뉴스브리핑] 이재명 대통령, 이집트 국영지 '알 아흐람' 기고](https://img.newspim.com/news/2025/11/20/251120151655304_w.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