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정부 3년간 정부 공공 정보화사업이 크게 축소된 것으로 조사됐다.
16일 데이터뉴스가 행정안전부 공공부문 정보자원 현황 통계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윤석열 대통령이 집권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간 중앙행정기관·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의 소프트웨어 개발, 운영유지보수, 장비 구입, 기획 등 정보화사업 발주건수가 매년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공공부문 정보화사업 발주건수는 2021년 1만3707건에서 2022년 1만3707건, 2023년 1만3449건, 2024년 1만546건으로 매년 감소추세를 보였다. 3년 만에 발주건수가 3928건 줄었다.
공공부문 정보화사업 발주금액은 2022년 4조1511억 원에서 2022년 4조88억 원, 2023년 3조5969억 원으로 줄었다가 지난해 3조7767억 원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증가에도 불구하고 2021년에 비하면 3744억 원 줄었다.

기관유형별로 보면, 발주건수는 중앙행정기관(1747건→1407건), 광역자치단체(1283건→1043건) 및 기초자치단체(4981건→4322건), 공공기관(4444건→3378건) 모두 2021년보다 2024년이 줄었다.
발주금액은 중앙행정기관(1조6750억 원)→1조2111억 원)과 광역자치단체(2759억 원→2572억 원), 기초자치단체(4981억 원→4322억 원)은 2021년보다 2024년이 줄었고, 공공기관(1조7021억 원→1조8249억 원)은 늘었다.
이러한 상황은 윤석열 정부에서 재정 건전화를 앞세우면서 정보화사업 예산도 축소 기조를 보인 결과로 풀이된다. 실제로 공공부문에서 계획한 정보화 사업을 축소하거나 연기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는 것이 관련 업계의 설명이다.
이재명 정부에서는 정보화사업 규모가 확대 기조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AI 분야에 대한 투자가 강조되고 있어 관련 사업을 중심으로 정보화사업 확대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강동식 기자 lavita@datanews.co.kr
[ⓒ데이터저널리즘의 중심 데이터뉴스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