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에서 10년 넘게 선교활동을 이어온 캄보디아 한인회 부회장이 최근 잇따르는 한국인 대상 범죄 사태를 두고 “고수익을 내세운 광고에 이끌려 온 한국인들을 단순한 피해자로만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17일 뉴스1에 따르면 옥해실 캄보디아 한인회 부회장은 “초창기에는 속았다고 하지만 뉴스에서 난리를 쳤는데도 들어오지 않느냐”며 “왜 선량한 시민이 (범죄를) 당한 것처럼 이야기하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인 대상의 취업 사기가 이미 최소 3년 전부터 시작됐다고 밝혔다.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나가던 2022년, 한국인 학생들이 줄줄이 캄보디아에 들어온다는 이야기가 돌았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옥 부회장은 “당시 ‘이게 문제없이 지나가진 않을 것 같다’는 이야기가 나돌았다”면서 “이후 강력범죄가 발생하고 사람이 죽고 다치니 어느새 이 문제가 화두가 됐다”고 회고했다.
그는 이번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선 해외 취업을 빙자한 불법 광고 단속과 함께, “쉽게 돈 벌 수 있다”는 말에 속아 현지로 넘어와 보이스피싱 등 범죄에 가담한 한국인들에 대한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에서 마음만 먹으면 어디서 광고하는지 다 알 수 있다고 본다. 전부 찾아내 확실하게 처벌해야 한다”며 “여기에서 한 번 걸리면 ‘자비가 없다’는 걸 보여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현재 캄보디아 한인회는 현지 범죄단지에 감금된 한국인들을 구출하는 활동도 병행하고 있다. 탈출한 이들 가운데는 귀국 항공권조차 살 여력이 없는 경우가 많아, 한인회가 직접 비용을 마련해 항공료를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옥 부회장은 “정부에서 마음만 먹으면 어디서 광고하는지 다 알 수 있다고 본다. 전부 찾아내 확실하게 처벌해야 한다”며 “여기에서 한 번 걸리면 ‘자비가 없다’는 걸 보여줘야 한다”고 했다.
한인회는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교민안전지원단’을 신설했다. 캄보디아 범죄조직에서 벗어난 한국인들이 귀국길에 다시 피해를 입지 않도록 공항까지 동행해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옥 부회장은 “캄보디아 당국 단속과 우리 정부를 비롯한 외국 압박이 심해지자 범죄 조직 근거지가 국경지대로 옮겨가고 있다”며 “대표적인 지역이 캄보디아와 베트남이 국경을 맞대고 있는 ‘바벳’이다. 바벳에는 새로운 단체가 상가 형태로 200곳 이상 생겼다. 포이펫은 이미 마약도시로 전락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외교부는 지난 16일 0시를 기해 바벳과 포이펫 등 일부 지역의 여행경보를 최고 단계인 4단계(여행금지)로 격상했으며, 범죄단지가 밀집한 시아누크빌주의 여행경보는 3단계(출국권고)로 상향 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