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지 인턴기자 unknown@kyeonggi.com
기자페이지
청소년 5명 중 1명 스마트폰 없으면 불안 전문가 "시기 적절한 예방 및 교육 우선"

#1. 안양에 거주하는 A양(16)은 최근 부모님께 “학교 다니기가 힘들다”고 털어놨다. 하루에 16시간 이상 스마트폰을 만지며 늦은 시간까지 모바일 게임을 한 탓에 낮밤이 바뀌어 아침마다 등교하기 피곤하다는 이유였다. 결국 A양은 경기도내 청소년 디지털 중독 관련 상담센터을 찾았다.
#2. 용인에 사는 B군(14)은 개학 후 스마트폰 이용 시간을 줄이기 위해 오후 9시 이후로는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지 않기로 가족과 약속했다. 하지만 낮 동안 수업 중 몰래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등 학교생활에 집중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 스스로 중독을 의심하기 시작했다.
30일 경기일보 취재 결과 청소년들이 개학을 맞으면서 디지털 중독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방학 중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사용하던 습관이 개학 후에도 개선되지 않아 학교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교육부 등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전국 중‧고등학교 1~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스마트폰 및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사용 실태 조사’에서 응답자 3명 중 1명(36.8%)은 스마트폰이나 SNS 이용으로 공부, 인간관계 등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명 중 1명(22.1%)은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불안·초조함을 느낀다고도 답했다.
청소년들이 디지털 환경에 과하게 노출되면 ▲집중력 저하 ▲수면 장애 ▲우울감 증가 등 심리·신체적으로 악영향이 나타날 수 있다. 또 유해 콘텐츠로 인해 도박, 성매매 등 온라인 범죄에 빠질 위험성도 커진다.
지난해 제22대 국회에서는 중독 위험으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해 스마트폰 사용을 제한하는 법안이 여러 차례 제안됐다. 국민의힘 조정훈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은 관련 법안을 내놨지만 모두 아직 심사 단계에 있다.
전문가들은 법제화도 좋지만 시기 적절한 중독 예방과 교육이 우선시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치료학과 교수는 “청소년들은 아직 어리기 때문에 충분히 예방이 가능하다”며 “청소년들은 강제적인 스마트폰 제한에 대해 ‘우리의 자유와 권리를 뺏는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제재만 하기보다는 예방과 교육을 함께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기남부스마트쉼센터 관계자는 “교육을 먼저 시행해 스마트폰 사용에 어느 정도 제한이 필요함을 논리적으로 이해시킬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