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올해 132개 방산기술 개발 지원

2025-04-29

정부가 인공지능(AI), 반도체, 로봇 등 차세대 방산 기술 개발을 위해 올해 132개 과제에 총 1천134억원을 투자한다.

30일 산업통상자원부와 방위사업청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민군기술협력사업 2025년도 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민군기술협력사업은 15개 부처가 참여하는 대표적인 범부처 협력사업으로, 지난 1999년부터 시작됐다.

정부는 올해 이 사업에 작년보다 32.3% 증가한 1천134억원을 투입해 수륙양용 기동정찰로봇, 초소형 자폭드론시스템, 경호 특수차량용 방호소재 등 132개 개발 과제를 지원하기로 했다.

특히 AI, 반도체, 로봇, 드론 등 차세대 방산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핵심기술 자립화에 전체 투자 금액의 63.5%(720억원)를 집중 투자한다.

정부는 민간 기술의 국방 분야 적용 확대를 위해 '첨단 민군 협의체'를 통해 군 소요와 연계할 수 있는 첨단 기술 발굴에 나선다.

또 국방부와 협업해 군의 소요 결정 전이라도 민간 신기술을 신속히 검증할 수 있도록 군 시범 운용 체계를 갖추기로 했다.

아울러 한미 간 방산 협력 강화와 수출 지원을 위해 산업계·학계·연구소·군 등이 참여하는 '함정 MRO 민군 협의체'를 구성하고, 함정 유지·보수·정비(MRO)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 및 시험·인증 체계 구축을 위한 신규 사업을 발굴한다.

방산 핵심 인재 확보를 위해서는 기계·소재, 전기·전자, 우주항공 등 기반 산업 분야에 연간 600억원을 투자, 2천명 이상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로 했다.

국내 방산 기술·부품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기관에 설치한 '글로벌 산업기술 협력센터'를 거점으로 민군 겸용 공동 개발 사업을 발굴하고, 해외 국방 수요를 기반으로 수출형 차세대 무기체계 부품개발 관련 연구개발(R&D)을 추진한다.

정부는 민군 기술 융합 활성화를 위해 민군기술협력사업 촉진법 및 관련 규정 개정도 추진하기로 했다.

박성택 산업부 1차관은 "첨단화되는 미래 방산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AI, 드론 등 민간의 첨단 기술과 방위 산업 간 융복합을 통한 기술 혁신이 중요하다"며 "방위 산업의 수출 전략 산업화를 뒷받침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민군 협력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강환석 방사청 차장은 "방위산업 4대 강국 진입을 목표로 민군기술협력사업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관리·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산업팀 theradionews@naver.com

<저작권자 © 전파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