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은 K없는 K콘텐츠인 새한류 '넥스트 K' 시대"

2024-12-03

유현석 한국콘텐츠진흥원 원장직무대행 '콘텐츠 2025 전망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유현석 한국콘텐츠진흥원 원장직무대행이 '콘텐츠 2025 전망'에 대한 키워드로 "K없는 K콘텐츠 시대"를 꼽았다.

3일 서울 중구 다동에 위치한 CKL스테이지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이 주최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직무대행 유현석)이 주관하는 '콘텐츠산업 2024 결산 2025 전망 세미나'가 열렸다.

이번 세미나는 올해 콘텐츠산업의 주요 이슈와 트렌드를 결산하고 내년 산업 전망 키워들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데이터로 결산하는 2024년 콘텐츠산업 ▲키워드로 전망하는 2025년 콘텐츠산업 발제와 함께 ▲소비자 취향 다양성과 선호 콘텐츠 전망 ▲콘텐츠산업과 창·제작 환경 전망을 주제로 분야별 전문가들의 토론이 진행된다.

이날 유현석 콘진원 원장직무대행은 '키워드로 전망하는 2025년 콘텐츠산업'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 "지난 10년간 매년, 콘텐츠산업 트렌드를 키워드로 전망해 오고 있다. 대한민국 콘텐츠산업은 비약적인 성장 곡선을 그렸다. 우리가 즐기던 콘텐츠를 전 세계가 즐기고 있고, 대한민국 핵심 사업으로 문화와 경제를 이끌어가고 있다"라며 "한편에서는 경제침체가 콘텐츠산업에도 영향을 끼칠 거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기에, 2025년은 매우 중요한 시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콘진원이 바라보는 내년 콘텐츠산업 전망은 바로 '넥스트 K'로 묶인다. 유 원장직무대행은 "지금까지 K콘텐츠는 한국에서, 한국인에 의해 만들어진 한국적인 콘텐츠라고 정의할 수 있었지만 궁극적인 성장은 K를 굳이 붙일 필요가 없는 글로벌 시장에서 자리매김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이제 우리는 K없는 K콘텐츠를 만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기생충', '오징어게임', BTS 등 K콘텐츠의 성공을 통해 이제 한걸음 더 나아가 문화적 경계와 갇히지 않고 더 넓은 시장과 이용자가 만나는 K의 시대가 도래 할 것이라 생각한다. 이것을 우리는 새로운 한류 '넥스트 K로 명명했다"고 덧붙였다.

'넥스트 K: 그 이상의 K'에는 ▲'글로벌 시장 공략, H.I.P하게' ▲'인지人조화' ▲'네오크리에이터' ▲'생존의 시대, 시소전략' ▲'콘덕지교' ▲'콘멜레온' ▲'NO, M.S.G'로 세분화할 수 있다.

'글로벌 시장 공략, H.I.P하게'에서 'H.I.P'는 각각 ▲초현지화 전략 '하이퍼-로컬라이제이션(Hyper-Localization)' ▲콘텐츠IP 연관산업 동반 진출 확대 'IP-커넥티드 인더스트리(IP-Connected Industry)' ▲새로운 해외판로 '파이오너(Pionner)'이다

유 원장직무대행은 "초현지화전략, IP-연관산업 연계 진출확대, 새로운 해외 판로 개척. 현지 맞춤형 고도화된 전략을 통한 현지 민심을 공략하고 콘텐츠IP와 관광, 뷰티, 식품 등 연관 산업과 연계해 글로벌 진출을 확대하고, 새로운 판로를 개척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인지人조화'는 인공지능과 조화롭게 동행하기 위한 전환점을 나타낸다. 현재 AI발 콘텐츠산업 내 제작사 간, 인력 간, 기술 도입 및 정보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생성형 AI는 생산성을 높이지만 접근성 격차가 문제로 꼽히고 있다. 또 AI콘텐츠에 대한 이용자의 거부감(불쾌한 골짜기)이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다"라며 "이를 위해 정책·제도적 지원, 인력 충원, 기존 인력 교육 등을 통해 AI기술 격차를 해소하고 AI콘텐츠와 이용자 간의 간극을 좁히기 위한 움직임이 확산되면서 인지부조화에서 '인지 조화'로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불쾌한 골짜기를 지나 콘텐츠산업이 인공지능에 조화롭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노하우를 본격적으로 축적하는 전환의 해가 될 거라 전망한다"고 내다봤다.

'네오크리에이터'는 새로운 방식으로 콘텐츠를 제작하는 창작 신(新)인류를 뜻한다. 오랜 기간 축적된 제작 관습, 문법 파괴를 통해 획기적인 기획력으로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고, 신기술로 용이해진 콘텐츠 제작 환경으로 다양한 콘테츠 구현 가능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유 원장직무대행은 "'생존의 시대, 시소전략'은 경기 불황 속 단기적 수익 확대와 장기적 가치 창출 사이, 콘텐츠 기업의 생존 전략을, '콘덕지교'는 다양하게 확장되는 '콘덕(콘텐츠 덕질)'의 영향력을, '콘멜리온'은 이용자 취향의 파편화, 급변하는 환경에 따라 카멜레온처럼 변주하는 콘텐츠를 뜻한다. 마지막 'NO, M.S.G'는 주류문화의 일부로 자리 잡은 서브컬처 콘텐츠(NO, Mainstream)와 '리얼'을 추구하는 논-스크립트(NO, Script) 콘텐츠, 마지막으로는 친환경 콘텐츠(NO, Garbage)"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유현석 원장직무대행은 "콘텐츠산업이 급격한 변화보다는 커다란 흐름 속에서 기회와 위기에 대응하면서 움직여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셨으리라 생각한다. 또 한편으로는 발상의 전환을 통해 그 트렌드 틈새에 아직 보이지 않는 새로운 기회를 찾으셨으면 한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