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시장,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 재편 필요

2025-03-31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전력시장에 경쟁체제를 도입하고, 전력 수요처에 발전설비를 구축하는 '분산형 시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31일 대한상공회의소는 서울 중구 대한상의 회관에서 CF(무탄소)연합과 함께 '탄소중립, 어떻게 하나요'를 주제로 '제7회 탄소중립과 에너지 정책 세미나'를 공동 개최했다.

행사에는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회성 CF연합 회장을 비롯한 정부 관계자, 기업, 학계, 시민단체 등 각계 주요 인사 300여명이 참석했다.

탄소중립과 에너지 정책 세미나는 최 회장의 제안으로 국가적 아젠다인 탄소중립과 에너지 정책 해법을 모색하는 취지에서 2022년부터 열리고 있다.

안 장관은 축사에서 "정부는 탄소중립 시대에 우리 사회가 지속 가능한 번영을 영위할 수 있도록 무탄소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앞당기고, 이를 제도적으로 든든히 뒷받침함과 동시에 AI 등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회장은 환영사에서 "탄소중립의 핵심은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무탄소 에너지의 공급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라며 "온실가스 배출을 제어해 에너지 소비를 청정화하는 기술의 발전과 소비자의 선택이 탄소중립의 성패를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탄소중립·AI 시대 전력 시스템 개편 방안', '탄소중립 시민 참여 방안'을 논의하는 세션도 진행됐다.

발표를 맡은 조홍종 단국대학교 교수는 "반도체 클러스터와 데이터센터에 안정적 전기 공급을 위해서는 현재 중앙집중형 에너지 시스템을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으로 재편해야 한다"며 "산업단지와 발전설비의 지리적 매칭을 통해 송전 비용 최적화, 지리적·시간적 소매요금 차등을 통한 지산지소(地産地消) 분산형 시장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AI 시대의 전력산업 경쟁력과 한국전력공사의 전력 독점체제 등에 대한 전문가 토론도 이어졌다. 또 시민단체별 탄소중립 활동과 애로사항 및 활성화 방안도 논의됐다.

윤세훈 기자 press@jeonpa.co.kr

<저작권자 © 전파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