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국가 데이터 분석 통해 '골든타임' 효과 입증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연구팀은 2016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병원 밖 심정지 환자 76,505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응급실에 30분 이내로 도착한 환자가 생존율이 높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응급의료서비스 호출 후 응급실 도착까지 걸린 시간에 따라 환자를 ▲1분위(25분 이하) ▲2분위(26~30분) ▲3분위(31~39분) ▲4분위(40분 이상)로 나누어 경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응급실에 40분 이상 걸린 환자에 비해, 26~30분 이내로 도착한 환자는 병원 내 사망률과 심각한 뇌 손상률이 약 53% 낮았으며, 25분 이내로 도착한 환자는 병원 내 사망률이 약 70% 낮고, 심각한 뇌 손상률은 68% 가량 낮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응급실 이송 시간이 5분 늘어날 때마다 병원 내 사망률이 약 16%, 심각한 뇌 손상률이 약 14% 증가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 결과는 현장에서 시행된 심폐소생술, 자동심장충격기 사용 등 다양한 변수들을 보정한 뒤 도출된 것으로, 응급실 도착까지의 시간 지연이 생존에 중요한 독립적 요인임을 시사한다.
이오현 교수는 “응급처치가 잘 이루어지더라도 병원 도착이 지연되면 생존율 향상에 한계가 있다”며, “응급실 도착 후 시행하는 고도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한 연구 결과”라고 밝혔다.
김용철 교수와 배성아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골든타임의 개념을 수치적 근거로 입증한 첫 대규모 연구”라며, “심정지 환자 치료에서 30분이라는 구체적인 목표 설정이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주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Mayo Clinic Proceedings’ 10월호에 게재되었으며, 향후 국내 응급의료체계 개선과 심정지 환자 치료 지침 마련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전국매일신문] 유완수기자
youys@jeonmae.co.kr
저작권자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