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환경부는 16일 서울 종로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기후미래포럼 미래세대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우리나라의 장기 온실가스 감축경로(2031~2049년)를 수립하는 과정에서 미래세대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기 위해 마련됐다.
환경부는 작년 8월 기후위기 헌법소원에 대한 헌법불합치결정에 따라 이후 12월 장기 감축경로 및 입법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분야별 전문가 49명이 참여하는 ‘기후미래포럼’을 발족했다. 포럼은 최근까지 분과회의 18회, 전체회의 2회를 진행하는 등 논의를 이어오고 있다.
헌재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과 관련해 2031년~2049년까지의 감축목표에 관해 대강의 정량적 수준도 정하지 않은 것은 미래에 과중한 부담을 이전, 기후위기라는 위험상황에 상응하는 보호조치로서 필요한 최소한의 성격을 갖추지 못했다며 불합치 판정을 내린 바 있다.
이날 간담회에는 기후미래포럼의 청년위원을 비롯해 기후위기 대응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미래세대 17인(초·중·고 학생 및 고교 교사 포함), 환경부, 한국환경연구원 관계자가 참석하며, 이들은 기후정책 및 장기 감축경로 수립 방향 등을 주제로 토론을 펼칠 예정이다.
이번 토론을 계기로 미래세대가 인식하는 기후위기 대응 필요성, 장기 감축경로 수립 관련 정부에 대한 기대 등을 청취해 포럼 최종보고서에 반영할 계획이다.
안세창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은 “미래세대에게는 기후위기가 생존과 더욱 직결된 문제”라며,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청년들의 목소리를 포럼 결과보고서에 반영해 연내 국회에 제출하고, 기후정책 전반에 미래세대 의견이 충실히 반영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